2025년 벚꽃 개화시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올해 벚꽃 개화시기는 전국이 평년보다 3일에서 8일 정도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3일에서 7일 정도 일찍 벚꽃이 피기 시작하며, 호남 및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는 8일 빠른 시기에 벚꽃이 개화할 전망이다. 작년과 비교할 때, 남부지방은 0일에서 4일, 중부지방은 0일에서 2일 정도 빠르게 벚꽃이 피기 시작할 예정이다. △서귀포 3월 22일 △부산 3월 23일 △창원 3월 23일 △울산 3월 25일 △여수 3월 26일 △광주 3월 27일 △목포 3월 29일 △전주 3월 26일 △대구 3월 24일 △포항 3월 25일 △안동 3월 30일 △대전 3월 29일 △청주 3월 29일 △서산 4월 6일 △수원 4월 3일 △서울 4월 1일 △인천 4월 4일 △강릉 4월 1일 △춘천 4월 4일 벚꽃의 절정 시기는 개화 후 만개까지 일주일 정도 소요되는 점을 고려할 때, 서귀포에서는 3월 29일 이후, 남부지방에서는 3월 30일부터 4월 6일경, 중부지방에서는 4월 5일부터 11일경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은 4월 1일 개화하여, 4월 8일경 절정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벚꽃의 개화일은 표준목의 경우 벚나무 한
2025년 3월, 버스커버스커의 유명한 노래 '벚꽃엔딩'이 다시 음원 차트 상위권에 오를 시기가 다가오면서, 많은 이들의 관심이 벚꽃 개화 시기로 집중되고 있다. 제주에서의 벚꽃 개화일은 평년 기준으로 3월 25일로 예상되며, 서귀포는 가장 빠른 3월 24일에 꽃망울이 터질 것으로 보인다. 제주에서 벚꽃이 처음 피면, 부산·창원·포항·울산 등을 거쳐 4월 초순에는 서울에 도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벚꽃의 개화 기준은 관측 표준목에서 3송이 이상의 꽃이 활짝 필 때로, 만개는 전체 나무의 80% 이상이 꽃을 피운 상태를 의미한다. 제주에서는 3월 25일 개화가 예상되며, 이후 부산(3월 28일), 광주(3월 31일), 서울(4월 8일) 순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역사적으로 제주에서의 벚꽃 개화 기록에 따르면, 1992년 3월 9일이 가장 이른 개화일로 기록됐고, 1985년과 1988년에는 4월 5일로 가장 늦은 개화 기록을 보였다. 최근 51년 중 64.7%가 3월 하순에 개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상청은 벚꽃 개화 예측을 포기한 상태다. 기온, 일조량, 강수량 등 다양한 변수가 예측을 어렵게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각종 봄꽃 축제가 예정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자연에 생기가 가득해지는 봄이다. 봄이 되면 활동량이 늘어나면서 우리 몸에서 필요로 하는 각종 영양소의 양도 증가하는데 이를 채워주지 못하면 몸이 피로해지고 쉽게 지치는 등 춘곤증을 호소하게 될 위험이 있다. 봄에 챙겨야 할 영양소에 대해 알아보고 채식으로 이를 채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국민건강지식센터에 따르면 봄철에는 다른 계절보다 비타민 소모량이 3배 가까이 늘어난다. 특히 신진대사를 돕는 비타민 B와 면역력 강화를 위한 비타민 C 섭취에 힘써야 하는데 비타민 B, C는 모두 채소와 신선한 과일에 다량 함유돼 있다. 먼저 신진대사를 도와 체내 열량을 분해하며 피부의 재생과 성장 촉진에도 관여를 하는 것으로 잘 알려진 비타민 B는 바나나, 토마토를 비롯해 녹색채소, 강낭콩을 통해 섭취가 가능하다. 바나나는 비타민 B5와 비타민 B6의 주된 공급원으로 스트레스나 몸의 피로를 완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토마토에도 비타민 B6가 많이 함유돼 있는데 이는 지방간이 생기지 않도록 지방대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단백질의 합성을 돕는다. 비타민 B가 많이 함유된 대표적인 녹색 채소는 브로콜리를 꼽을 수 있다. 브로콜리에는 특히 비타민 B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