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탄소중립위원회(이하 탄중위)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의 40% 감축을 목표로 하는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을 8일 제시했다.
이날 탄중위가 밝힌 수치는 기존 목표치 26.3%보다 대폭 상향된 수치다. 지난 2016년 최초로 2030 NDC를 수립한 이후 국내외 감축비율 조정 등은 있었지만 대대적인 목표 상향은 이번이 처음이다.
탄중위는 "기준연도에서 2030년까지의 연평균 감축률을 고려할 때 2018년 대비 40% 감축목표는 매우 도전적인 것"이라며 "이는 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매년 온실가스를 4.17%씩 감축해야 하며 이는 영국과 미국의 2.81%, 유럽연합(EU)의 1.98%보다 높다.
상향된 NDC 목표를 위해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가장 높은 에너지와 산업 부문에서 석탄 발전을 축소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기술 개발 및 혁신을 통해 에너지를 효율화하고 연료·원료를 전환하는 감축 수단을 적용했다.
건물 부문에서는 에너지 효율 향상 및 청정에너지 이용 확대, 수송 부문에서는 무공해차를 보급하고 교통 수요관리를 강화한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저탄소 농수산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폐기물 부문에서는 재활용 확대, 바이오 플라스틱 대체 등 감축 수단을 적용했다.
또 온실가스 흡수·제거량을 늘리기 위해 산림의 지속가능성을 증진하고 도시 숲, 연안습지, 갯벌 등 신규 탄소흡수원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CCUS) 확대하겠다는 방침도 담겼다.
관계부처와 탄중위는 이날 NDC 상향안에 대한 온라인 토론회를 개최해 각계 의견수렴을 거친 후 10월 확정할 예정이다.
또한 정부는 11월에 계획된 제26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 26)를 계기로 우리나라의 NDC 상향안을 국제사회에 발표하고 12월 중 UN에 최종 제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