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박물관과 영화의 융합, 새로운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다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하고 경기도박물관(관장 이동국)이 주관한 ‘제1회 박물관영화제(Museum CineFest, MCF)’가 지난 1월 26일 폐막식을 끝으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국내 최초로 전시와 영화가 융합된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영화제는 ‘박물관이 영화를 만났을 때’라는 슬로건 아래 박물관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문화예술계의 주목을 받았다. 정적인 유물과 동적인 영화가 만나 박물관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서 재탄생하는 계기가 됐다.
▶박물관의 새로운 도전,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 모색
제1회 박물관영화제는 박물관이 정적인 유물 전시 공간에서 벗어나 동적인 문화 향유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음을 증명한 행사였다. 관객들은 영화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유물을 통해 영화 속 시대적 배경을 더욱 생생하게 체험하는 기회를 가졌다. 이는 박물관이 단순한 전시 공간을 넘어 다양한 문화 콘텐츠와 융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경기문화재단과 경기도박물관은 이번 영화제의 성과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주제와 프로그램을 통해 박물관과 영화의 융합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번 영화제가 제시한 문화적 가능성이 박물관의 역할 확대와 콘텐츠 다양화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7일간의 여정, 역사와 영화의 조우
지난 1월 10일부터 26일까지 매주 주말 동안 진행된 이번 영화제는 관객들에게 역사적 맥락 속에서 영화를 경험하는 색다른 기회를 제공했다. 개막작으로 선정된 영화 '관상'과 함께 경기도박물관 소장 유물이 특별 소개됐으며, 학예사가 진행하는 토크콘서트를 통해 영화 속 역사적 배경과 유물의 의미를 심도 있게 분석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특히, 인물의 외형을 읽는 ‘관상’과 내면과 정신까지 탐구하는 ‘초상’ 사이에서 박물관 학예사의 GV를 통해 관객들이 영화와 유물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번 영화제에서는 다양한 시대적 배경을 가진 작품들이 상영됐다. 조선시대를 다룬 영화'상의원', '역린', '이재수의 난'은 당시의 복식문화와 정치적 사건을 재조명했으며, 2025년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영화 '동주', '말모이', '암살' 등 일제강점기와 독립운동을 소재로 한 작품들은 관객들에게 역사적 의미를 환기시켰다. 또한, 영화 '황진이'(1986)와 '황진이'(2007)를 연이어 상영하며 조선시대 여성의 삶과 사회적 배경을 조망하는 시간도 가졌다.
▶융합형 콘텐츠, 새로운 문화 패러다임 제시
박물관영화제의 핵심은 영화와 전시의 결합을 통한 ‘박물관영화’라는 새로운 문화 콘텐츠의 창출이다. 각 영화 상영 후 진행된 토크콘서트에서는 박물관 학예사와 영화 전문가들이 함께 영화 속 역사적 요소와 유물의 관계를 설명하며 관객과 소통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특히, 학예사가 직접 영화에 등장하는 유물을 소개하며 해당 유물이 지닌 역사적 가치와 맥락을 깊이 있게 설명한 점이 돋보였다. 이는 유물이 단순한 전시물에서 벗어나 영화와 연계된 새로운 학습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영화 '역린' 상영 후 진행된 세션에서는 장한종의 '책가도'를 활용한 정조의 정치적 메시지에 대한 해석이 흥미롭게 전개됐으며, '상의원' 상영 후에는 조선시대 왕실 의복과 민간 복식의 차이점을 심도 있게 다루었다. 영화 '황진이' 상영 후에는 조선 여성의 복식과 족두리의 변화 과정을 소개하는 시간이 마련됐다. 학예사가 직접 영화와 유물을 소개하는 방식은 영화와 전시의 경계를 허물며 관객들에게 더욱 몰입도 높은 경험을 제공했다.
또한, 영화제의 일환으로 개최된 심포지엄 ‘다양성을 담다 : 박물관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도약’에서는 영화와 박물관이 융합된 콘텐츠의 가능성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박물관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과 관객입장에서의 백남준아트센터, 경기도어린이박물관 사이의 공간 경영까지 논의됐으며, 경기뮤지엄파크 차원에서 박물관의 역할을 재정립하는 계기가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