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수원시가 정책 변경이 많은 복지 분야 업무 담당자가 업무를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복지 업무 프로그램을 구축했다.
예를 들어 ‘생계급여 기준에 대해 알려줘’라고 검색하면 생계급여 기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설명하고, 사업 운영 기관 계획서 등 답변 출처를 안내하는 방식이다. 생계급여 기준과 연관된 키워드들도 도식화해 보여준다.
이 프로그램의 가장 큰 장점은 정책 변경이 많은 업무 특성에 맞춰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AI 솔루션 전문 기업 ‘오케스트로 AGI’의 sLLM(소형 대규모 언어모델) 솔루션과 RAG(검색 증강 생성) 기술을 활용했다. RAG는 LLM의 기술적 난제인 환각 현상을 완화해 답변의 정확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수원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년 AI 애자일 기반 DPG 혁신 서비스 개발 지원’ 공모에서 ‘초거대 AI 모델을 활용한 복지 민원 서비스 개선 사업’을 제안해 선정됐고, 2024년 12월 한국지능정보화사회진흥원(NIA), 오케스트로 AGI와 함께 ‘복지 민원 서비스’ 개발을 완료했다.
주요 서비스는 ▲복지민원 AI 검색 서비스 제공 ▲복지 업무 지침서 학습으로 공직자 AI 복지 어시스턴트 구현 ▲학습데이터 출처파일 제공으로 환각 완화 등이다. 복잡하고 변동이 큰 복지 관련 상담을 자연어 기반 생성형 AI 검색 서비스로 제공해 민원인들에게 쉽고 빠르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수원시는 수원시 홈페이지에서 민원인에게 AI 복지상담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른 업무 분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복지 업무 매뉴얼, 복지 공공데이터, 복지로 서비스, 복지 관련 법령·조례·지침 등 방대한 복지 업무를 자료를 초거대 인공지능 언어모델로 학습하고 서비스를 고도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