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할리우드 배우 제니퍼 쿨리지(Jennifer Coolidge)가 글로벌 동물단체 페타(PETA)의 2023년 비건 퀸(Vegan Queen)으로 선정돼 눈길을 끈다. 과거 영화 ‘금발이 너무해’ 시리즈로 대중의 큰 사랑을 받은 제니퍼 쿨리지는 최근 HBO시리즈 ‘화이트 로터스(The White Lotus)’에서 타냐 맥쿼이드 역을 완벽하게 소화해 2023년 크리틱스 초이스, 제29회 미국배우조합상에서 각각 여우조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한 배우다. 페타는 지난 7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제니퍼 쿨리지가 그동안 보여준 동물 해방에 대한 헌신으로 올해 비건 퀸으로 선정됐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제니퍼 쿨리지의 동물 권리 운동은 2003년 그녀가 PETA의 동물실험 금지 쇼핑 가이드의 표지를 장식했을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라라면서 “이후에도 그녀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꾸준한 동물 사랑을 이어왔다”라고 설명했다. 리사 랭(Lisa Lange) 페타 수석 부사장은 성명을 통해 “동물에 대한 제니퍼 쿨리지의 큰 마음은 그녀의 재능에 비할 수 없다”라면서 “식품, 의복, 화장품에 거쳐 동물 실험을 거치지 않은 제품을 사용하도록 모두에게 영감을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환경을 보호하고 동물의 복지를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기존 육류 산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에 콩, 버섯 등 식물성 원료로 만든 식물성 대체육과 동물의 줄기세포를 배양해 만든 배양육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대체육 시장이 2040년에는 기존 육류 산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9일 유럽 식품 정보 매체인 유러피안 슈퍼마켓 매거진(European Supermarket Magazine)은 영국 지적 재산권 전문 기업인 고브그랜트(GovGrant)가 발표한 보고서를 인용해 2040년에는 대체육 시장이 육류 시장의 60%를 차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보고서는 대체육과 관련된 전 세계 여러 기업들이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로 2040년까지 배양육이 전 세계 육류 소비의 35%를 차지하고 식물성 대체육이 25%를 차지해 기존 육류 산업을 넘어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보고서는 특히 배양육 산업 발전에 주목했다. 애덤 시몬스(Adam Simmonds) 고브그랜트 연구원은 성명에서 “실험실에서 재배한 육류에 대한 엄청난 잠재적 수요가 확인됐으며 기업이 더 혁신하고 제품을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스타벅스가 독일 전역의 매장에서 식물성 대체 우유에 대한 추가금을 폐지한다. 지난 13일 커피 시장 조사 전문지인 월드커피포털(Worldcoffeeportal)은 스타벅스가 독일 전역의 매장에서 아몬드, 코코넛, 귀리, 콩으로 만든 식물성 대체 우유에 대한 추가 요금을 없앤다고 보도했다. 독일은 영국, 튀르키예, 프랑스에 이어 유럽 전역에서 스타벅스의 네 번째로 큰 시장으로 지난 2022년 비건 우유 추가금을 폐지한 스타벅스 영국과 프랑스 이어 스타벅스에서 비건을 기본값으로 만들었다. 이번 결정은 글로벌 동물보호단체 페타(PETA)를 포함해 비건 소비자들의 수 년간의 노력 끝에 나온 것으로 토바이어스 샬료(Tobias Schalyo) 페타 독일지부 기업 책임 관리자는 “독일 스타벅스의 결단과 발걸음은 획기적이다. 이제 인기 있는 커피 체인점도 글로벌 수준에서 따라야 하며 식물성 우유 대체품에 대한 추가 요금을 과거의 일로 만들고 전 세계 모든 지점에서 이를 폐지해야 한다”라고 성명을 발표했다. 환경과 동물의 복지를 생각하고 유당불내증을 가진 소비자들을 위해 콩, 귀리, 아몬드로 만든 대체 우유를 옵션으로 도입하는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위기 시대에 모든 산업에서 ‘지속가능성’이 중요시 여겨지고 있는 가운데 엔터테인먼트 업계에서 지속가능한 영화 제작을 위한 이니셔티브가 마련돼 눈길을 끈다. 지난 9일 더 할리우드 리포터(The Hollywood Reporter)는 유니버설 필름드 엔터테인먼트 그룹(Universal Filmed Entertainment Group, 이하 UFEG)이 지구 친화적인 영화를 만들기 위해 그리너라이트(GreenerLight) 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독점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리너라이트 프로그램은 미국 엔터테인먼트 기업 NBC유니버설(NBCUniversal) 지속가능성 부서와 협력해 UFEG 영화 전략팀에서 개발한 것으로 대본 개발에서 제작(로케이션 결정 포함) 및 배급에 이르기까지 전체 영화 제작 과정에 지속 가능한 관행과 환경을 고려한 사전 고려 사항을 포함하도록 설계됐다. 이는 영화 상에서도 환경 친화적인 각도에서 화면상의 행동 묘사를 보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캣 코이로(Kat Coiro) 감독이 환경보호 비영리단체 해빗 오프 웨이스트(Habits of Waste)와 파트너십을 맺고 영화의 모든 장면에 플라스틱 제품 대신 재사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강한 내구성, 가벼운 소재, 저렴한 제작 비용 등으로 한때 '기적의 소재'로 불리던 플라스틱이 인류의 골칫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플라스틱은 생산과정, 폐기 과정에서 유해물질을 발생시킬 뿐더러 썩지 않고 미세플라스틱으로 잘게 부셔져 해양생태계를 비롯해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이에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감자로 만든 음료수 병 시제품이 공개돼 눈길을 끈다. 지난 6일 영국 디자인 전문매체 디진(Dezeen)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투모로우머신(Tomorrow Machine)이 감자 전분을 기반으로 한 생분해성 주스 병 ‘곤쉘(GoneShells)’의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곤쉘’은 투모로우머신이 글로벌 식품 기업 에케스그라니니(Eckes Granini)의 음료 브랜드브라흐물트(Brämhults)를 위해 공동으로 개발 중인 제품으로 감자 전분 기반 재료로 만들어져 내부와 외부 모두 바이오 기반 방수 장벽으로 코팅돼 주스를 보관한다. 투모로우머신은 과일 껍질이나 달걀 껍질과 같이 음식을 보호하는 자연적인 방법에서 영감을 얻어 제품 제작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친환경 플랫폼 ‘지구랭’이 기부받은 청바지로 새로운 업사이클 아이템을 선보여 눈길을 끈다. 최근 지구랭은 홈페이지를 통해 ‘돌돌진 프로젝트’를 통해 만든 업사이클링 가방 2종을 출시했다. ‘돌돌진 프로젝트’는 버려질 뻔한 청바지를 기부받아 세상에 하나뿐인 업사이클 패션템으로 재탄생시키고 그 수익의 일부가 다시 환경단체로 기부되는 친환경 선순환 프로젝트다. 지구랭은 지난해 11월부터 2개월 동안 전국에서 기부받은 청바지 619벌을 해체 및 세척, 원단화 작업, 디자인 생산과정을 거쳐 플랫 파우치 백, 노트북 백 2종으로 재탄생시켰다. 제품 디자인에는 비건 업사이클 패션 가방 브랜드 할리케이가 함께했으며 동영상 크리에이터 에코팀이 관련 유튜브 영상을 제작해 뜻을 함께했다. 또한 이번 제품은 친환경 엔터테이너이자 환경운동가인 줄리안 퀸타르트가 함께해 줄리안 에디션으로 발표됐다. 제품은 기부받은 청바지 가운데 원단이 되기 어려운 스판 청바지를 데님 펠트로 활용해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완충재로 사용했으며 플라스틱 리사이클 메쉬 원단을 사용한 가방 안쪽 주머니를 마련해 실용성을 더했다.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으로 활용도를 높였으며 기부받은 청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영국의 유명 배우이자 코미디언인 리키 저베이스가 영국의 트로피 사냥을 금지하는 법안에 찬성하며 트로피 사냥 금지에 힘을 보탰다. 트로피 사냥(trophy hunting)이란 오락 목적으로 돈을 지불하고 코뿔소, 코끼리, 사자 등 대형 야생동물을 합법적으로 사냥하는 것을 뜻한다. 사냥꾼들은 사냥한 동물의 옆에서 사진을 찍고, 동물 신체의 일부를 기념품으로 박제하거나 음식으로 먹는다. 오는 17일 투표 예정인 샐리의 법안(Sally's Law)이라고 불리는 정부 법안은 트로피 사냥 금지 캠페인(Campaign to Ban Trophy Hunting)의 조사 과정에서 남아공의 트로피 사냥에서 구조된 호랑이 새끼의 이름을 따 명명됐다. 영국 보수당 하원의원 헨리 스미스(Henry Smith)가 제출한 이번 법안은 영국 트로피 사냥꾼들이 재미를 위해 살해한 동물의 시신(헌팅 트로피)을 집으로 가져오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 40년 동안 영국 사냥꾼들은 CITES(멸종 위기에 처한 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에 의해 멸종 위기에 처한 것으로 분류된 약 5000마리의 동물을 영국으로 들여올 수 있었다. 영국에 일부 기업들은 아프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영국 전역의 케밥 레스토랑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브리티시 케밥 어워즈((British Kebab Awards)’에서 올해 처음 채식 카테고리가 신설돼 눈길을 끈다. 튀르키예를 대표하는 음식인 케밥은 영국에서 오랫동안 사랑받는 요리로 알려져 있다. 한 조사에 따르면 영국인들이 4번 째로 많이 먹는 요리가 바로 케밥이다. 그만큼 영국 전역에 케밥 전문 레스토랑이 가득한데 이러한 케밥 전문 레스토랑 가운데 최고의 케밥을 가리는 행사가 바로 브리티시 케밥 어워즈다. 올해 브리티시 케밥 어워즈에는 10년 만에 비건 케밥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축하하기 위해 최고의 비건 케밥 부문을 신설했다. 브리티시 케밥 어워즈의 창립자인 이브라힘 도구스(Ibrahim Dogus)는 성명에서 “브리티시 케밥 어워즈는 케밥의 모든 것을 축하하는 자리이며 최초의 비건 케밥 카테고리 도입은 사람들의 취향에 맞춰 장면이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라고 밝혔다. 식물성 육류 브랜드 잇플랜티드(Eatplanted)가 후원하는 올해의 새로운 비건 카테고리에는 8곳의 비건 레스토랑이 결승에 진출했으며 브라이튼의 벨제바브(Beelzebab)가 우승을 차지했다. 브라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물고기 기억력이 3초라는 소리는 옛말이 됐다. 동물에 관한 여러 연구가 나오면서 물고기가 예상외의 놀라운 지능을 가졌다는 사실이 입증됐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국립과학원보(PNAS)에 실린 일본 오사카 메트로폴리탄 대학(OMU)의 연구에 따르면 청줄청소놀래기(Labroides dimidiatus)는 사진과 거울을 통해 자신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오사카 메트로폴리탄 대학의 코다 마사노리(Masanori Kohda) 동물 사회학자는 “뇌가 큰 동물이 물고기와 같은 작은 뇌를 가진 동물보다 더 지능적일 것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가정을 이제 재고해야 할 때”라고 전했다. 코다 박사는 이전의 연구에서 청줄청소놀래기 10마리 가운데 7마리가 거울을 통해 자신을 알아보는 인지 능력이 있음을 확인한 바있다. 지난 연구에서는 물고기가 거울을 통해 자신을 인식하자, 연구진은 물고기의 머리에 색깔이 있는 젤을 묻혔고 물고기는 거울 앞에서 오랫동안 머물며 자신의 바뀐 모습을 보려하는 등의 행동을 취했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물고기가 실제 인지 능력이 있는지에 대해 충분한 근거가 되지 못했고 이에 대한 연장선으로 이번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구에 착한 제품에 손이 가는 시대다. 화장품 업계에서는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성 원료가 함유되지 않는 비건 뷰티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EU를 비롯한 선진국 기반의 글로벌 뷰티 기업 사이에서는 화장품 용기에 널리 쓰이고 있는 ABS(고부가가치합성수지)를 비롯한 석유화학 플라스틱 사용을 자제하고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생분해 소재 또는 재활용 소재를 사용하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해 12월 일반쓰레기로 버려도 생분해되는 용기를 CJ올리브명의 PB브랜드 ‘웨이크메이크 워터벨벳 비건 쿠션’에 적용해 선보였다. 이들이 선보인 용기는 PHA(해양생분해)와 PLA(산업 생분해)를 섞은 제품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PLA 소재가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PHA를 혼합해 완성한 것이다. 웨이크메이크 워터벨벳 비건 쿠션은 화장품을 직접 담는 내부 용기와 거울을 제외한 외부 용기 전체에 생분해 소재가 적용됐다. CJ제일제당은 고무와 비슷한 부드러운 물성을 지닌 비결정(非結晶)형 aPHA(amorphous PHA)를 활용했는데, 이는 전 세계에서 오직 CJ제일제당만 대량생산중인 소재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푸마(PUMA)가 비(非)동물성 축구화를 출시해 눈길을 끈다. 푸마는 지난 3일 공식 홈페이지에 캥거루 가죽이 아닌 K-BETTER(K-베러) 기술을 도입한 푸마 킹(PUMA KING) 제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푸마 킹은 푸마 브랜드를 대표하는 축구화 라인으로 캥거루 가죽을 활용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 동물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동물성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대가 높아졌고 푸마는 축구화에서 단계적으로 캥거루 가죽을 제거하고 있다. 이번에 선보인 K-BETTER 푸마 킹은 비동물성 갑피 소재로 산업폐기물을 재활용한 나일론 60%를 사용해 기존에 사용하던 캥거루 가죽보다 촉감, 내구성, 편안함을 높였다. 또한 외부 힐 카운터를 적용한 경량 아웃솔, 움직임을 제어하기 편이한 원추형 스터드를 도입했다. 이 밖에도 나노그립(NanoGrip) 기술이 적용된 경량 탈착식 안창이 있어 방향을 변경할 때 발을 제자리에 고정시켜 힘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피터 스테판(Peter Stappen) 팀스포츠 풋웨어 수석 제품 라인 관리자는 “푸마 킹은 푸마의 가장 상징적인 축구 라인이며 항상 최고의 재료와 최신 혁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나날이 기후변화가 심각해지면서 지속가능한 식단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채식이 저탄소 식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채식은 가장 큰 장점은 동물을 사육할 때 드는 사료, 물, 에너지, 토지 등이 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울환경연합에 따르면 소고기 1kg에는 동물을 사육할 때 사용하는 옥수수가 약 16kg 사용된다. 이 밖에도 필요한 물의 약은 1만 5500ℓ에 달한다. 가장 중요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떨까? 미국 경제지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소고기 1kg을 생산하기 위해 약 27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는 소를 키우기 위해 나무를 불태우는 과정과 같이 토지 용도 변경 과정과 소가 방귀와 트림으로 내뿜는 메탄가스, 또한 소 도축 과정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 등에서 발생한다. 일부 조사에서는 축산업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이에 반해 채소 위주의 식단의 탄소 배출량은 현저히 적다. 토마토 1kg를 기르는데 드는 물의 양은 180ℓ에 불과하며 채식에 주로 사용되는 콩류를 비롯한 버섯, 해초 등은 1kg를 생산하는데 모두 3kg 미만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플라스틱으로 인한 기후위기,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떠오르면서 기존 포장에서 플라스틱을 제거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사조대림은 플라스틱 트레이를 제거한 ‘더 고소한 김 바삭 재래김’을 출시했다고 3일 밝혔다. 신제품은 사조대림의 ‘지구야안심해’ 친환경 캠페인의 일환으로 지난해 ‘안심팜’ 플라스틱 캡제거에 이어 두번째로 선보이는 친환경패키지 제품이다. 트레이를 제거한 ‘더 고소한 김 바삭 재래김’은 엄선된 서남해안 재래김 원초를 사용해 고소한 참기름을 발라 정성껏 두 번에 걸쳐 구운 것이 특징이다. 플라스틱 트레이를 제거하면서 트레이 외 전체 포장부피까지 줄였으며, 10만개 판매할 때 마다 플라스틱 8톤 정도가 절감돼 올해는 64톤 수준의 플라스틱 사용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 고소한 김’은 사조대림의 대표 김 브랜드로 1986년부터 지켜온 전통방식에 따라 엄선된 국산원초와 기술력으로 만든 제품이다. 대표품목으로는 ‘파래김’ ‘재래김’ ‘참기름김’ ‘바삭 돌김’이 있으며 100% 통깨를 단 한번만 짜낸 참·들기름을 발라 깊은 풍미를 느낄 수 있다. 김시내 사조대림 마케팅팀 담당은 “최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전 세계가 노력하고 있는 가운데 다국적 기업 유니레버가 탄소 저감 아이스크림을 개발하고 있다고 전해 눈길을 끈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은 유니레버가 덜 녹는 아이스크림을 개발해 온실가스 저감을 도울 예정이라고 보도했다.유니레버는 친환경 목표를 추구하고 그 과정에서 잠재적으로 판매를 늘리기 위한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덜 녹는 아이스크림을 개발해 아이스크림을 저장해 두는 냉동고의 온도를 올려 온실가스 배출에 기여할 계획이다. 유니레버의 아이스크림 브랜드 벤앤제리스(Ben & Jerry's)와 메그넘(Magnum) 등은 업계 표준인 0도에서 약 10도 정도 높은 온도로 설정된 냉동고에서 견딜 수 있는 아이스크림을 개발하고 있으며 실제 제품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약 10년 전부터 덜 녹는 아이스크림 개발에 착수했고 설탕과 관련한 신기술이 개발되면서 목표에 한 걸음 다가서게 됐다. 현재 유니레버가 자사의 아이스크림을 판매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냉동고는 약 300만 대로, 이를 가동하는데 드는 에너지가 유니레버가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자국의 약 10%를 차지한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부산시가 기부숲을 조성하는 기업이나 단체에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했다는 인증서를 발급한다. 부산시는 올해 3월부터 기부숲 조성 등 기업·단체의 공공부문 수목 식재 기부의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해 인증하는 ‘온실가스 감축 기여 인증제’를 전국 최초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최근 기업들이 사회가치경영(ESG) 확산을 위해 사회공헌과 기부를 확대해가고 있음에 따라 시가 이를 기후위기 극복과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자발적인 수목식재 기부로 확대하기 위해서다. 시는 기부숲 조성액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을 정하기 위해 온실가스 표준감축량을 1그루 당 이산화탄소 0.01톤으로 정하고, 1그루의 가격을 15만원으로 정했다. 이를 2021년부터 기업·단체 8곳에서 해운대수목원에 조성한 약 31억원 상당의 기부숲에 적용하면, 이들의 기부숲은 연간 0.01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약 2만 666그루를 식재한 것으로 환산된다. 이는 총연간 약 206.6톤의 온실가스를 감축한 것으로 인증된다. 인증서는 연간 1톤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기업·단체에 발급된다. 특히 연간 6.7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기업·단체는 부산녹색환경상에 우선 추천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