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무분별한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해 지구가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생분해 플라스틱이 개발됐지만 정작 실제 바다에서 생분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의 세라-진 로이어(Sarah-Jeanne Royer)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에 따르면 썩는 플라스틱으로 알려진 폴리락트산(PLA) 섬유가 바다 환경에서는 1년 넘게 썩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정보열람 학술지 플로스 원(PLOS One)에 게재된 이 논문은 해양 환경에서 플라스틱 소재의 지속성에 대한 불안한 진실을 밝히기 위해 마련됐다. 연구팀은 미국 샌디에이고에 위치한 엘렌 브라우닝 스크립스 기념 부두(Ellen Browning Scripps Memorial Pier)에서 해수면과 10M 깊이 바닥에 식물 섬유소인 셀룰로오스 기반 천연 섬유부터 폴리락트산(PLA)과 석유 기반 섬유, 혼합 섬유 등 총 10종의 섬유 시료를 철망 안에 담아 분해 과정을 관찰했다. 이들은 주 단위로 고해상도 전자 현미경 및 라만 분광법을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스티로폼 폐기물에 대한 대안으로 새우껍질을 사용한 친환경 스티로폼이 개발돼 눈길을 끈다. 지난 8일(현지시각) CNBC 등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 크루즈폼(Cruz Foam)이 새우와 게 등의 껍질로 만든 생분해성 스티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스티로폼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포장, 건축 등의 여러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티로폼은 플라스틱과 같은 성분으로 자연 분해가 되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결국 잘게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해 해양생태계를 위협한다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여러 산업에서는 스티로폼 사용을 자제하고 있으며 미국의 뉴욕, LA 등 일부 주에서는 스티로폼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존 펠츠 (John Felts) CEO와 마르코 롤란디(Marco Rolandi) CTO에 의해 2017년 설립된 크루즈폼은 전 세계적으로 스티로폼 폐기물이 문제가 되자 스티로폼의 대안 개발에 나섰다. 크루즈폼은 농업폐기물서 나오는 전분과 함께 새우와 게 등 갑각류의 껍질을 형성하는 키틴(chitin)이라는 성분을 사용해 친환경 스티로폼을 개발했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오늘날 플라스틱 쓰레기는 환경 문제의 주범으로 떠오르며 심각한 문제로 꼽힌다. 전 지구적 차원에서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 규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전국적으로 매장 내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규제하고 마트 백화점 슈퍼마켓 등에서의 일회용 비닐 봉투 사용 규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나아가 오는 6월부터는 카페 일회용 컵에 보증금을 부여해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정책을 마련했다. 이렇듯 플라스틱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규제가 마련되는 한편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플라스틱을 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개발하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는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옥수수나 사탕수수 전분과 같은 재생 가능한 식물 공급원으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이미 시장에 나와 있으며 석유 플라스틱의 인기 있는 대안이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생물학적 분해성은 의심스럽다. 대부분 특정한 조건 하에 생분해가 이뤄지기에 산업 퇴비 시설에서만 생분해되며 다른 플라스틱과 별도로 재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실제 퇴비로 처리했을 시 별다른 과정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