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난 24일 오후 6시 29분쯤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가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싱크홀은 지반이 갑자기 침하해 생기는 함몰 현상을 일컬으며, 그 크기와 깊이에 따라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을 지적하고 있다. 자연적 요인으로는 지하수의 흐름, 침식 작용, 석회암 지대에서의 용해 작용 등이 있으며, 특히 지하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토양을 약화하고 지표면이 붕괴하는 경우가 많다. 인위적 요인으로는 건설공사와 도로 개발 등으로 인한 지반 변화가 있다. 이러한 공사로 인해 지하수의 흐름이 변화하거나 지반이 불안정해지면서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노후화된 하수도 및 배수 시스템의 문제로 인해 싱크홀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싱크홀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정기적인 지반 조사를 통해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 둘째, 노후한 하수도 및 배수 시스템을 정비하고 비가 많이 오는 시즌에는 특별 점검을 해야 한다. 셋째, 건설업체는 공사 전 지반 조사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구 온도가 높아지면서 일어나는 심각한 기후 재해가 청소년들에게 여러 가지 방향으로 장기적인 피해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저널 인구조사와 정책검토(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에 발표된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농업 과학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기후 재해 및 펜데믹으로 인한 가족 소득 손실과 같은 충격적인 사건은 청소년들에게 학문적 진보와 미래 식량 안보에 장기적인 피해를 준다. 연구원들은 페루 어린이 1713명을 대상으로 15년 동안 수집한 어린이 종적 연구(Young Lives Longitudinal Survey)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직이나 농작물 실패와 같은 경제적 또는 농업적 충격, 홍수나 지진과 같은 환경적 충격, 이혼이나 가족의 죽음과 같은 가족 충격을 포함해 다양한 범위의 충격에 따른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어떤 형태로든 어린 시절에 더 많은 충격에 노출된 청소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읽기 및 어휘 테스트 점수가 낮아진 것 사이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발견했다. 아울러 그 영향은 식량 안보 수준의 감소로 확대됐다. 연구는 기후변화 시대에 청소년들이 겪을 다양
[비건만평] 지구의 외침 "열받게 하지마"…지구온난화, 잦은 '산불' 일으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