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한국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해 국제사회에 제출한 첫 번째 보고서가 책자로 나온다. 환경부는 지난 3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 제출한 ‘대한민국 기후변화 적응보고서’를 국문과 영문본 책자로 발간해 배포한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이 기후변화 보고서는 2015년 합의된 파리협정에 근거해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이 각 당사국에 적응보고서 제출을 권고함에 따라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심의를 거쳐서 제작됐다. 이번 보고서는 기후변화 적응에 대해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제출하는 첫 번째 보고서로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 등에 따르면 국가별 기후변화 보고서는 영국과 호주 등 약 50개 국가가 제출한 상태다. 해당 보고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사무국에서 전 세계 기후변화 대응 추진 현황을 점검하는 ‘전 지구적 이행점검(GST, Global Stock Take)’의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또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적응정책과 이를 위한 법, 조직 등 제도적 기반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기회로 쓰일 예정이다. 보고서에는 극한 강우 증가, 침엽수 서식지 감소 등 부문별 기후변화 위험 요소와 이에 기반한 우리나라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이 담겼다. 특히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유희동 기상청장이 강도 높은 탄소 감축을 위한 노력이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11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100년간 기상 데이터로 본 기후위기, 대응과제는?’ 제2회 국가현안 대토론회에서 유희동 기상청장이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경고했다. 유 청장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 평균기온은 14.88도였다. 20세기 평균보다 0.98도 높은 수준이다. 지구 평균 온도 1도 상승에 걸린 시간은 1000년에서 100년으로 줄었다. 특히 한국은 10년마다 0.2℃ 정도 기온이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전 지구 기온 상승 평균인 0.07도의 세 배에 달하는 수치다. 이 같은 변화는 온실가스 증가와 관련이 깊다. 유 청장에 따르면 국내 4곳의 기후변화감시소를 통해 총 37종 기후변화 원인 물질을 관측·분석한 결과 4곳 모두 이산화탄소 평균 검출량이 전지구 평균인 415.7ppm보다 높았다. 안면도 423.1ppm, 고산 421.5ppm, 울릉도 420.8ppm, 독도 419.6ppm 등이다. 유 청장에 따르면 폭염 기간도 늘어났다. 지난 30년(1981∼2010년) 대비 최근 10년(2011∼2020년) 열대야일은 4.6일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탄소 배출을 줄이지 않으면 21세기 말에는 남부 지방과 제주에는 겨울이 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기상청은 2081~2100년 지역별 기후 전망을 발표했다. 이번 지역별 기후 전망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제6차 평가보고서상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와 작년 산출한 남한 고해상도(1㎞) 기후변화 시나리오 등을 토대로 예측한 결과다. 기상청의 국내 지역별 기후 전망은 1㎞ 단위까지 세밀하게 정리해 광역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읍면동까지의 기후 예측이 가능하다. 광역지자체 기후변화 전망을 보면 2081년부터 부산·대구·광주·울산·전북·전남·경남·제주 지역에는 겨울이 사라진다. 다른 지역의 겨울도 짧아져 서울 28일, 인천 42일, 대전 10일, 세종 63일, 경기 65일, 강원 71일, 충북 67일, 충남 41일, 경북 10일 등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기상학적으로는 일 평균 기온이 5도 밑으로 떨어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았을 때를 겨울의 시작으로 본다. 겨울이 사라지면서 여름이 늘어나 제주는 금세기 말 1년의 약 60%(211일)가 여름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129일)보다 여름이 82일 길어지는 것으로 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