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비거니즘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트렌드로 급부상하며, 비건 패션이나 뷰티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최근 비건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조사한 연구 논문이 온라인 학술지 플랫폼 사이언스온에 발표돼 이목을 끈다. 상당수의 소비자가 비건 화장품을 천연 화장품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리서치 기관 그랜드뷰리서치가 2018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비건 화장품 시장의 규모는 세계적으로 208억 달러(약 23조 5800억 원)에 육박할 것이며, 매년 6.3%의 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다른 리서치 기관 민텔은 밀레니얼세대와 Z세대가 채식 식단과 함께 천연재료와 윤리적 소비를 중요시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비건 화장품이 세계적인 트렌드로 인식되면서 국내 화장품 업계도 이에 맞춰 관련 제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국내 소비자 인식은 이에 못 미친다는 주장이 있다. 비건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서서히 시작됐을 뿐 아직 대중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비건 화장품은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성 화장품성분을 사용하지 않으며 천연에서 얻어지는 안전한 식물성 천연재료를 사용하고 합성방부제‧인공향료‧인공색소‧합성계면활성제‧미네랄오일‧GMO‧실리콘‧알코올 등 인체에 해룰 미칠 수 있는 합성성분을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라고 할 수 있다.
영국의 비건 인증기관인 비건 소사이어티의 경우 제품의 제조 및 개발에서 쓰이는 모든 원료에 동물성제품, 부산물, 파생물이 포함되지 않고, 모든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 유래 GMO가 포함되지 않은 제품이라고 규정했다.
미국의 비건 인증기관인 비건 액션은 육류, 생선, 가금류, 동물부산물, 달걀, 달걀제품, 우유, 우유제품, 꿀, 꿀벌제품이 들어있지 않아야 하며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 유래 GMO가 포함돼 있지 않은 제품을 비건 화장품으로 규정했다.
한국비건인증원은 동물 유래 원재료가 들어있지 않고, 동물 유래 성분과의 교차오염이 없어야 하며 동물실험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명시했다.
◆ 비건 화장품에 대한 오해와 혼동
비건 화장품은 유럽과 미국등지에서도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화장품, 베지테리언(Vegetarian) 화장품과 혼용돼 인식되기도 한다. 크루얼티 프리(Cruelty-Free) 화장품은 동물 실험을 하지 않은 화장품만을 뜻하기에 비건 화장품과는 구분된다. 베지테리언 화장품에는 밀랍이나 꿀과 같은 동물부산물이나 파생물이 포함된다. 비건 화장품은 어떠한 동물성 성분도 전혀 사용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다른 범주라 할 수 있다.
유기농 화장품이나 천연 화장품과도 다소 다르다. 식약처의 규정에 따르면, 식물성 성분에는 해조류를 비롯한 해양식물과 버섯 등도 포함된다. 천연화장품은 천연 성분 함량이 전체 성분의 중량 95% 이상, 유기농 화장품은 유기농 성분 함량이 전체 성분의 중량 10% 이상, 천연 함량이 95% 이상인 경우 해당된다. 비건 화장품은 유기농 성분이나 식물 성분, 미네랄 성분을 함유할 수는 있지만 동물성 성분이 배합되지는 않는다.
비건 화장품에 들어가지 않는 동물성 성분은 어떤 게 있을까? 우리가 익히 들어본 콜라겐과 로얄젤리, 뮤신, 마유, 난황유, 꿀, 프로폴리스, 실크파우더, 스쿠알란 모두 해당된다. 벌이나 돼지, 달팽이 등에서 유래되는 동물성 성분이다. 그밖에 카민이나 젤라틴, 에뮤오일 등도 동물성 성분이다. 다만 콜라겐과 스쿠알란은 식물성 성분도 있다.
이렇게 보면, 비건 화장품이 100% 성분이 좋고 피부에 자극과 알레르기 유발 위험이 적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과연 그럴까? 비건 화장품 규정에 맹점이 있다.
영국의 뷰티 매거진 글래머는 “비건 화장품이라는 라벨만으로는 합성성분이 배제됐다고는 볼 수 없다. 동물 유래의 글리세린, 콜라겐, 젤라틴, 레티놀이 들어있지 않고 비건 소사이어티 기준에 따른 진주, 실크, 우유 단백질, 라놀린, 동물 기름, 코치닐이 사용되지 않은 화장품일 뿐이다”라고 지적했다.
‘화장품 읽어주는 남자’로 활동하는 화장품 전문가 임관우 씨는 “비건 화장품은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동물에서 유래한 성분을 모두 사용하지 않은 화장품을 의미하는 것은 분명하다”라고 말하며 “하지만 피부를 자극할 수 있고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사용할 경우 신체에 축적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배합하면 안 된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고 칼럼을 통해 밝혔다.
그에 따르면, 몇몇 비건 화장품에는 피부 자극, 알레르기 유발이 가능한 성분이 배합된다. 그는 “발림성과 점도, 향, 색을 내기 위해 여러 실리콘 오일이나 합성 성분을 배합해 자극을 유발한다면 진정한 비건 화장품이라고 부르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대부분 소비자는 비건 화장품을 저자극 화장품‧식물성 화장품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2019년 건국대학 산업대학원에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20~50대 성인의 43%가 비건 화장품에 대한 첫 이미지를 천연 화장품이라고 꼽았다. 비건 화장품으로 쓰고 싶은 화장품은 기초 스킨케어가 77%로 가장 많았으며, 비건 화장품의 가장 큰 장점은 식물재료 등 자연성분 사용 65%로 나타났다. 비건 화장품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응답자의 47%가 화장품 성분이라고 답했다.
비건 화장품을 인정해주는 미국과 프랑스, 독일 등 인증기관의 마크는 많다. 국내에도 2018년 첫 비건인증원이 설립돼 향후 비건 화장품 시장이 커질 가능성을 시사했다. 동물성 성분이 포함되지 않는 제품을 찾는다면 비건 인증 마크를 받았는지 살펴보는 것이 도움 될 수 있다.
만약 식물성 화장품이나 저자극 화장품을 기대한다면 굳이 ‘비건 인증’을 따질 필요는 없다. 음식과 달리 화장품에 사용되는 동물유래 성분은 달팽이나 마유, 비즈왁스 등 몇 가지에 국한된다. 환경을 생각한다면? 화장품 성분보다 용기나 포장을 살펴보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쇼핑백이나 상자, 용기 등 포장을 최소화했는지, 친환경 재료를 활용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비건 화장품은 친환경을 지향하는 소비자의 관심과 가치관을 반영하지만, 식물성 화장품도 천연 화장품도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