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2 (금)

  • 맑음서울 10.1℃
  • 맑음인천 9.1℃
  • 구름조금원주 9.6℃
  • 맑음수원 10.3℃
  • 맑음청주 11.0℃
  • 맑음대전 12.1℃
  • 맑음대구 14.1℃
  • 맑음전주 12.4℃
  • 맑음울산 13.3℃
  • 맑음창원 14.5℃
  • 맑음광주 13.3℃
  • 맑음부산 15.5℃
  • 구름조금목포 11.6℃
  • 구름많음제주 14.2℃
  • 맑음천안 10.4℃
  • 맑음구미 13.6℃
기상청 제공

지구오염

환경 관련 기사·유튜브 증가…한국인이 가장 분노하는 문제는 '플라스틱'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언론 기사와 유튜브 콘텐츠를 통해 살펴본 결과 한국 사회의 환경 인식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장 분노하는 환경 문제는 플라스틱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세계자연기금(WWF)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 사회의 환경 인식 조사' 보고서를 발표하고 이와 같이 밝혔다. WWF는 지난 5년간 우리나라 언론과 대중의 환경 관련 인식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한국 사회의 환경 인식 조사-한국 사회의 에코웨이크닝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  

 

데이터 분석업체 아르스 프락시아에 의뢰해 2017년 1분기부터 작년 3분기까지 약 5년간 환경 관련 키워드를 포함해 작성된 69만3218건의 언론 기사와 유튜브 댓글 39만7639건을 수집해 빅데이터를 분석했다.

 

 

먼저 유튜브 댓글량은 2017년 1분기 40건 대비 2022년 3분기 33206건으로 약 82915% 증가했다. 언론 기사량은 2017년 1분기 7753건 대비 2022년 3분기 11251건으로 약 5년 사이에 4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관련 기사가 폭증했던 2019년을 제외하면 환경 관련 이슈가 전반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로 볼 수 있다. 

 

 

그 결과 유튜브 댓글에서 가장 주요하게 언급되는 환경 이슈들은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해양쓰레기(플라스틱) △친환경 소비 및 생활 실천 등 4가지였다. 이들 중 기후위기가 누적 댓글 5만 640건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해양쓰레기(플라스틱, 3만 4832건), 생물다양성(1만 4950건), 친환경 소비(7902건) 순으로 나타나 환경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전반적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언론 기사에서는 주로 △탄소중립 △미세먼지 △기후변화협약 △원전 △해양쓰레기(플라스틱) △친환경 소비 및 생활 실천 6가지 이슈를 다루고 있었다. 그 중에서 미세먼지 이슈가 12만 9957건으로 가장 많았고 탄소중립 이슈가 5만 0764건으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이 외에 친환경 소비(4만 374건), 해양쓰레기(플라스틱, 3만 6871건), 기후변화협약(1만 5220건), 원전(1만 1183건) 순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관련 이슈는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의 토픽으로 양쪽에서 모두 다뤄졌지만 언론은 기후변화협약을 중심으로 한 정책을 주로 다룬 반면, 유튜브는 기후변화로 인해 닥쳐올 위기를 주로 언급했다. 또, 유튜브 댓글에서는 언론 기사에서 상대적으로 덜 다뤄진 생물다양성에 대한 위기감이 보다 눈에 띄게 표출됐고 향후 우려와 경각심이 확산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문제의식과 위기감은 언론 기사보다 유튜브 댓글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추세다. 가속도 분석 결과를 보면 유튜브 댓글에서는 대부분의 이슈의 가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기후위기의 이슈 가속도가 47.68로 평균값보다 상회해 가파르게 상승했다. 

 

언론 기사의 경우 미세먼지는 누적 기사량이 가장 높은 데 반해 가속도는 가장 낮아 ‘죽은 이슈’로 분석됐다. 탄소중립은 누적 기사량이 두 번째로 많고 가속도는 가장 높아 미래에도 주요 담론으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됐다. 원전(1.38) 등의 이슈가 상승세를 보였으나, 유튜브 이슈의 가속도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2022년 유튜브 댓글 데이터의 감성분석 결과 가장 부정적인 키워드로 ‘플라스틱’이 꼽혔다. 플라스틱은 환경 이슈에 대한 긍정적인 키워드가 늘어나는 가운데 일관적으로 부정 키워드로 등장했다. 플라스틱에 대해서는 다수의 상품들이 부정적인 단어로 추출돼 플라스틱 소비에 대한 경각심이 주요하게 드러났다. 

 

이 외에도 배출, 기업, 바다, 미세, 인체, 종이컵 등 관련 단어들 모두 부정 비율이 높았다. 2021년 국민환경의식조사 결과 사람들이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문제 1위로 쓰레기/폐기물이 뽑힌 것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이 오염, 쓰레기 문제와 연관되면서 부정 인식이 계속해서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반해 2022년 가장 긍정적인 키워드는 ‘실천’이었다. 2018년에는 등장하지 않았던 실천, 생활 등의 단어가 2022년에는 긍정 감성 단어로 새롭게 등장하면서 환경 보호에 대한 실천의지가 전반적으로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2018년엔 부정 감성이 주를 이룬 소비라는 키워드가 2022년엔 긍정 감성을 띄는 단어로 반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이전엔 단순히 환경 보호에 부정적인 행태로 여겨진 소비 행위가 환경보호를 실천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자리잡았음을 보여준다. 

 

또 한 가지 특징으로는 환경 문제를 파편화된 이슈들로 인식하고 있던 2018년에 비해 최근에는 환경 이슈들이 서로 연결돼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점이다. 

 

언론 기사의 경우엔 2018년 거의 모든 키워드가 미세먼지 관련 단일 이슈에 함몰돼 있었는데, 2022년 데이터에선 소비자와 탄소중립 키워드가 전면에 등장했다. 미세먼지가 여전히 주요 키워드로 남아있긴 하지만, 군집 네크워크를 보면 ‘탄소중립’, ‘소비자’, ‘온실가스’ 등의 키워드가 주요하게 연결되면서 광범위한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소비 패턴의 변화 필요성에 대해 함께 언급하는 양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유튜브 댓글에서는 2018년에 플라스틱이 가장 중요한 키워드로서 당시의 미세플라스틱 및 플라스틱 쓰레기 이슈를 나타내고 있지만 2022년에는 ‘지구’, ‘인간’, ‘멸종’ 등 환경 문제와 관련된 더 근본적인 키워드가 중앙에 자리잡는 양상을 보였다. 다시 말해, 사람들의 인식이 보다 넓어지고 근본적인 문제 해결로 관심이 옮겨가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점점 다양한 키워드가 환경 이슈로 등장하고 있음에도 이슈간 유사도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었다. 2018년과 2022년 데이터의 이슈간 유사도 분석 결과를 비교했을 때, 유튜브 댓글의 경우 거의 모든 이슈간 유사도가 증가했다. 언론 기사의 경우 기후협약, 탄소중립, 소비 실천 등의 이슈들이 서로 유사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WWF-Korea 홍윤희 사무총장은 “이는 언론과 대중 모두 기후위기, 해양 오염 등의 서로 다른 환경 문제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 변화가 데이터에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WWF는 이번 연구가 전 세계인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 ‘에코웨이크닝’ 보고서와 마찬가지로 한국 사회의 ‘에코웨이크닝’ 현상을 증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세먼지에서 기후위기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에서 생물다양성으로 이어지는 인식 변화는 환경 문제를 유기적으로 바라보고 해결책을 세워야 한다는 관점과도 맞닿아 있으며 앞으로 시민들은 소비 기준이나 생활 양식에서 환경을 갈수록 중요한 요소로 여길 것이며 이러한 ‘에코웨이크닝’ 현상은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홍윤희 사무총장은 “더 이상 지체할 시간이 없다는 위기감이 사람들의 인식 속에 확산되고 있는 만큼 개인은 물론이고 정부, 기업 모두의 변화와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3명
75%
비추천
1명
25%

총 4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