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만평] 서울시, 일회용품 줄이기 실천 이벤트 '제로서울 챌린지' 시행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서울시가 '제로웨이스트'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해 시민 참여 이벤트를 개최한다. 서울시는 시민 참여 온라인 이벤트 ‘제로서울 챌린지’를 7월 31일까지 진행한다고 21일 밝혔다. ‘제로서울 챌린지’는 환경문제 제로화(최소화)를 위한 서울시의 시민참여 이벤트로 이번 주제는 ‘일회용품 줄이기’다. 시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제로웨이스트를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향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온실가스 줄이기 등 다양한 주제로 시민참여 이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참여방법은 간단하다. 다회용컵이나 다회용기, 에코백 등 다회용품을 사용하는 사진을 찍어 개인 인스타그램에 필수 해시태그(#제로서울챌린지)와 함께 인증하면 된다. 서울시 환경교육포털 ‘서울은 감탄해’ 메뉴를 통해서도 참여할 수 있다. 이벤트는 보다 많은 시민의 참여를 위해 참여자 대상 추첨을 통해 400여 명에게 경품을 지급한다. 한편 지난 9일 출범한 서울시 기후위기 대응 민관협력 네트워크 ‘제로서울 실천단’ 기업들도 ‘제로서울 챌린지’에 참여한다. △골프존, △대상(주), △락앤락, △비와이엔블랙야크, △서울YMCA, △SK텔레콤, △우리은행, △코레일유통 등이 참여해 기업 내부 네트워크를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서울시가 '제로웨이스트' 문화 확산을 위해 민간 업체 지원 사업에 돌입한다. 서울시는 '제로웨이스트' 소비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민간 제로마켓 활성화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제로마켓은 일회용품과 포장재 사용을 최소화한 제품을 판매하고 다회용기를 사용해 필요한 만큼 소분·리필해 소비할 수 있는 매장이다. 현재 민간에서 운영 중인 제로웨이스트 매장은 1인 사업장이 대부분으로 다양한 제품 확보, 소비자 홍보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시는 소규모 민간 제로웨이스트 매장과 다양한 형태의 제로마켓 95곳을 모집해 지원하기로 했다. 대상은 소분·리필제품을 판매하는 전문 제로웨이스트 매장, 포장재를 줄이는 꽃가게,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반찬가게, 기존 슈퍼마켓, 판매매장 등에 소분.리필 코너 를 개설한 사업자다. 시는 최소 200만원에서 최대 80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한다. 선정된 사업자에 대해서는 제로마켓 사업 개설·운영을 위한 교육, 네트워크 구성을 통한 공동구매, 홍보 등 자생력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모집 기간은 이날부터 30일 오후 6시까지다. 접수는 서울시 홈페이지와 서울디자인재단 홈페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서울시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로서울 실천단'을 꾸렸다. 서울시는 온실가스, 1회용품, 음식물쓰레기 등 환경문제를 ‘제로’로 만들기 위한 민관협력 네트워크 ‘제로서울 실천단’을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제로서울 실천단에는 대상㈜, 스타벅스, SK텔레콤, 우리은행, 골프존 등 13개 기업과 대한상공회의소, 전국경제인연합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3개 경제협의체, 언론사로는 매일경제신문 1곳이 참여한다. 9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출범식에는 조인동 서울시 행정1부시장과 13개 기업의 대표 및 임원, 3개 경제협의체 관계자 등이 참여했다. ‘제로서울 실천단’ 참여기업은 건물에너지 효율화, 전기차 충전기 보급, 제로웨이스트 등 서울시가 추진하는 주요 환경정책에 협력하고 기후위기 대응 시민 캠페인 등에 참여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건물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통해 시 소유 건물 및 민간 건물의 에너지소비량을 줄이고, 온실가스 총량제로 건물의 온실가스 표준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다. 해양환경공단이 건물에너지 효율화에 참여한다. 시는 출범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기업과의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분야별 사업 진행현황을 수시로 공유하고, 11월에는 성과보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4월 1일부터 카페와 제과점 등에서 일회용품 사용이 전면 금지 된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한다고 지난 24일 밝혔다. 먼저 다회용컵 반납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다회용컵 무인 회수기' 600대를 설치한다.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서울시는 시청 인근 카페에 무인회수기 16대를 설치해 시범운영에 나섰다. 이에 총 39만5000여개의 일회용컵 사용을 대체했다. 서울시는 올해 1회용컵 사용이 많은 대학가, 사무실 밀집지역 등 16개 거점을 선정해 거점 내 카페‧프랜차이즈 매장과 대학교, 지하철 역사 등 다중이용시설에 집중 설치한다. 아울러 배달음식에서 나오는 일회용품을 줄이기 위한 다회용기 이용을 장려한다. 그동안 음식배달 플랫폼 '요기요'와 다회용기 사용 시범사업을 실시한데 이어 올해는 추가로 3개사(배달의 민족, 쿠팡이츠, 땡겨요)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다회용기 이용을 확대한다. 다회용 배달용기 사용에 참여하는 '제로식당'도 130여개에서 배달 수요가 높은 강남구, 관악구, 광진구 등을 중심으로 500개를 추가 모집한다. 제품 판매 시 포장재를 최소화하는 제로마켓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서울시가 일회용 포장재를 사용하지 않는 제로 웨이스트 상점인 '제로마켓'을 개장한다. 서울시는 일회용 포장재를 사용하지 않는 제로웨이스트 상점인 '제로마켓'을 백화점, 체인형 슈퍼마켓(SSM), 아파트 단지 내 상가 등 10곳에 개장한다고 20일 밝혔다. '제로마켓'은 세제, 샴푸, 화장품 등 리필이 가능한 제품을 구매할 때 필요한 만큼만 무게를 재서 살 수 있는 친환경 매장이다. 매장에 비치된 전용용기나 개인이 가져온 다회용기에 제품을 담아서 구매할 수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용기 등 포장재를 사용하지 않아 생활폐기물을 감량하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제로마켓’ 1호점인 홈플러스 월드컵점을 시작으로 NC백화점 강서점, GS Fresh 고덕그라시움점 등에 내년 1월까지 순차적으로 오픈, 6개월간 시범 운영한다. 10곳은 서울시내 전역에 골고루 배치해 시민 누구나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최대한 경험하고 소비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제로마켓’을 대형 유통업계와의 협력을 통해 유동인구가 많고 접근성·편의성이 뛰어난 백화점·마트 등에 ‘제로마켓’을 선보여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고자 하는 시민이나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시민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가 장기화하면서 늘어난 음식 배달로 일회용 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 이에 서울시와 배달앱 요기요가 손을 잡고 다회용기를 도입하기로 해 눈길을 끈다. 지난 6일 서울시는 1회용 음식배달 폐기물이 늘어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번 쓸 수 있는 다회용기 활성화 사업을 12일부터 3개월간 추진한다고 밝혔다. 배달음식점이 편리하게 다회용기를 쓸 수 있도록 전문 업체를 통해 음식점에 다회용기를 대여하고 이후 수거된 용기를 세척해 재공급하는 과정을 지원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식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요기요, 잇그린,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울시는 배달용 다회용기 활성화 사업을 총괄하고 행정 지원을 맡는다.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는 요기요 앱 메인화면에 ‘다회용기’ 카테고리를 신설하고 음식점명 옆에 ‘다회용기’라고 표기해 소비자가 쉽게 이를 알아볼 수 있도록 돕는다.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는 각 지역 음식점의 참여를 유도한다. 잇그린은 참여 업체에 다회용기를 제공하고 수거 후 세척해 다시 공급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어 탄소배출 저감 효과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도출해 이러한 사업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