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 국민의힘)은 지난 26일 백사마을 길고양이 비상대책위원회 및 노원구 주민들과 함께 길고양이에 대한 보호 대책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는 노원구 구의원, 노원구청, SH공사 관계자들도 참석해 길고양이 보호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네 가구 중 한 가구 이상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으며, 각 지자체는 동물 보호 조례를 통해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안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반려동물 학대와 유기 문제는 심각하며, 특히 재개발에 따른 철거로 인해 길고양이에 대한 보호 대책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백사마을의 철거가 진행 중인 가운데 길고양이의 이동 및 보호 방안, 급식소 설치, 중성화 수술 지원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비상대책위원회와 캣맘협의회 회원들은 구청 및 SH공사의 지원을 요청하며 길고양이의 안전과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협력을 강조했다. 한 주민은 "주민들이 떠난 이후로 사료비가 급증했다"며 서울시와 노원구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노원구청 관계자는 현재 1억원의 중성화 수술 예산이 마련돼 있으며,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재개발이 예정된 서울 노원구 중계본동의 백사마을에서 길동물 보호를 위한 구조 요청이 절실하다. 재개발로 인해 대부분의 주민이 이미 이주했거나 이주를 앞두고 있으며, 마을은 거의 비어 있는 상태다. 이에 따라 남겨진 길냥이와 들개들이 보호의 손길이 필요하다.백사마을에서는 오랫동안 주민들이 길냥이를 돌봐 왔으나, 최근 주민들의 이주로 인해 돌봄이 중단된 상태다. 현재 최소 100여 마리의 길냥이가 구조를 기다리고 있으며, 이들을 위한 긴급한 조치가 필요하다. 구조 후에는 '녹지 이주', '쉼터 보호', '가정 입양' 등의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특히 백사마을의 재개발 시기가 2025년 상반기로 예정돼 있어, 철거 전 동물 구조가 시급한 상황이다. 구조가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관민 차원의 협력과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구조 후에는 인근 대학교와의 협력으로 캠퍼스 내외에 동물을 수용하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길동물 구조를 위한 재원은 군관민이 분담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시공사가 상당 부분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법제를 통해 건평에 비례한 비용 부담을 의무화함으로써 동물과 환경, 지역 사회가 모두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또
[비건뉴스 서인홍 기자] 지난 3월 개봉한 한 영화가 소소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재건축이 정해진 아파트 단지에 남아있는 고양이들의 모습을 담아낸 다큐멘터리 영화 ‘고양이들의 아파트’다. 영화는 한때 아시아 최대 아파트 단지였던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아파트의 재건축 과정에서 단지 내에 사는 고양이들의 안전한 이주를 돕는 모임 활동을 담았다. '고양이들의 아파트'를 연출한 정재은 감독은 재건축 결정이 나고 사람들이 이주를 시작한 2017년부터 아파트가 철거 공사를 시작한 2019년까지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촬영을 진행했다. 영역 동물인 고양이들은 사람들이 떠난 아파트 단지에 그대로 남아있다. 위험천만한 철거를 앞두고 평소 고양이들의 밥을 챙겨주던 주민들이 모여서 모임을 만들어 한 마리씩 이주시키는 프로젝트를 시작하지만, 위협을 느낄수록 더욱 깊은 곳으로 숨어버리는 고양이의 습성 때문에 프로젝트는 순탄치 않다. 우여곡절 끝에 250마리의 고양이 가운데 사람을 잘 따르는 고양이는 입양이 결정되고 50% 정도는 주민들 도움으로 옆 동네로 피난처를 옮기게 되지만, 아파트에 흙더미만 남겨진 상황에도 결국 그 자리를 지키는 고양이들도 여전히 존재한 채 영화는 막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