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만평] '지구온난화' 식물도 적응한다…광합성 능력 조절
[비건만평] 지구온난화가 막는 피부 호흡…개구리 서식지 3분의 1 소멸 가능성
[비건만평] 지구 온난화 주범 CO2 농도, 역사상 가장 빠르게 증가
[비건만평] 지구 온난화로 잦아진 '가을 호우'
[비건만평] '단풍' 발목 잡은 기후 온난화…평년보다 6일 늦어
[비건만평] 인간 활동이 부추긴 '기후변화', 우리가 해결해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지난 25년 동안 남극의 빙붕 40% 가량이 급속도로 사라졌다는 보고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12일(현지시간) 가디언은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어드밴시스(Scientific Advances)에 게재된 영국 리즈대학교의 연구를 인용해 지난 25년 동안 남극의 빙붕이 급속도로 녹고 있으며 현재 약 40% 가량이 사라진 상태라고 보도했다. 빙붕은 남극 대륙을 둘러싸고 있는 빙하와 이어진 채 바다에 떠 있는 수백 미터 두께의 얼음 덩어리로 바다로 흘러가는 빙하의 흐름을 늦춰 해당 지역의 빙하를 보호하고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빙붕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연구진은 우주에서 촬영한 10만 개가 넘는 이미지를 조사해 1997년부터 2021년까지 해마다 얼음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남극 대륙의 162개 빙붕 중 71개가 녹으면서 질량이 감소했으며 그 중 68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남극의 서쪽에서 67조 톤의 얼음이 손실되고 동쪽에서 59조 톤이 추가돼 7.5조 톤의 순 손실이 발생했다고 계산했다. 가장 많은 면적이 손실된 곳은 게츠(Getz)빙붕으로 남극 서남쪽에 위치하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나날이 상승하는 지구 온도는 이상기후를 비롯해 해수면 상승, 식량 위기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지구 온도 상승은 예상치 못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는 바로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최근 더워지는 날씨가 알코올 및 약물 관련 질환을 더욱 빈번하게 일으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전문지 네이처(Nature)가 발행하는 저널 커뮤니케이션 메디신(Communications Medicine)에 게재된 컬럼비아 대학교 메일먼 공공보건 대학원(Columbia University 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의 연구에 따르면 지구 온도 상승으로 인해 알코올 및 약물 관련 질환으로 인한 병원 방문 빈도가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미국에서 지난 수십 년 동안 중년에서 노년층의 과음과 알코올 관련 사망 및 질병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사망자는 20세기 말 이후 5배 이상 증가했다는 점에 주목해 상승하는 지구 온도가 이와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로비 엠 팍스(Robbie M. Parks) 컬럼비아 공공보건 대학원 환경 보건 과학 조교수는 “우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남극 해빙이 역대 최소 면적으로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16일(현지시간) BBC는 현재 남극해에 떠 있는 해빙 면적이 1700만㎢ 미만으로 40년 만에 역대 최소 면적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해빙 면적은 9월 평균치보다도 150만㎢ 작은 수준으로 이는 영국 국토 면적의 5배가 사라진 것과 같다. 국립빙설데이터센터(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에서 해빙을 모니터링하는 월터 마이어(Walter Meier)박사는 BBC에 “남극의 해빙 감소는 지금까지 본 어떤 것보다도 훨씬 놀라운 일이다”라면서 “불안정한 남극은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실제 남극 얼음은 태양 빛 에너지를 대기로 반사해 주고 인근 물 온도를 식혀주는 등 지구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해빙이 사라지면 바다는 더 많은 햇빛을 흡수해 따뜻해져 결과적으로 더 많은 얼음을 녹이는데 일조한다. 아울러 남극의 얼음 면적이 줄어드는 건 해수면 상승의 원인 중 하나로도 꼽히는데 실제 1990년대 이후 남극의 빙상 감소로 전 세계 해수면이 7.2㎜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비건만평] 지구 온도 올라가자, 남극 해빙 손실 가속화…황제펭귄 떼죽음
[비건만평] 남극 황제펭귄, 미래엔 박물관에서 볼수도…지구온난화로 준멸종에 직면
[비건만평] 지구가 끓는 이유, 지구온난화가 아닐수도? 원인 규명 시급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기후변화로 인해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상어들의 서식 방식에 변화가 일어나 상어들이 난폭해질 우려가 제기됐다. 지난 5일(현지시간) ‘더 텔레그래프(The telegraph)’는 해양 온도가 기록상 최고 수준에 도달함에 따라 상어가 더욱 공격적으로 변한다고 보도했다. 유럽연합(EU)의 기후 관측 기관 코페르니쿠스(Copernicus)에 따르면 지난 4일 해수면 온도는 평균 20.96도에 도달했다. 이는 2016년 최고치인 20.95도 보다 높은 것으로 이러한 해수면 상승이 물고기와 산호에 문제를 일으키고 결과적으로 많은 물고기 종들을 더욱 차가운 바다로 이동하도록 만든다. 보도에 따르면 이 같은 해양 생태계의 서식지 변화는 상어와 같은 포식자를 혼란스럽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사이먼 보셀(Simon Boxall) 영국 사우스햄프턴 대학(University of Southampton) 교수는 더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물고기들은 온도에 민감하다. 해수면 온도는 최고치를 기록했고 바다는 가장 뜨거운 곳이다. 포식자들은 더운 환경에서 방향 감각을 상실함에 따라 공격적이 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생태생리학자이자 생체역학
[비건만평] 기후위기에 빠르게 다가오는 '티핑 포인트' 5가지
[비건만평] 35년 전 '지구온난화' 경고한 과학자 "새로운 기후 한계 올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