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는 9일 올해 전기차와 수소차를 합해 총 9만4,430대를 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말까지 보급된 미래차(전기차, 수소차)가 총 11만3000여대라는 점을 고려하면 정부 목표가 차질 없이 이뤄질 경우 2020년에 미래차 누적 20만 시대를 맞게 된다.
구체적으로 환경부는 올해 전기 승용차 6만5000대, 전기 화물차 7,500대, 전기버스 650대, 전기 이륜차 1만1000대 등 전기차 8만4,150대를 보급한다. 수소차는 수소 승용차 1만100대, 수소 버스 180대 등 총 1만28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특히 올해부터 미세먼지 개선 효과가 높은 전기 화물차 보급에 역량을 집중한다고 밝혔다.
화물차는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총 360만대로 전체 자동차의 15%에 불과하지만 미세먼지 배출량에서는 전체 자동차의 절반이 넘는 56%를 차지하는 주요 배출원이었다. 경유화물차 1대(8.49kg/년)는 승용차(0.88kg/년)보다 미세먼지를 약 10배 더 배출한다.
아울러 환경부는 올해부터 미래차 보급 활성화를 위한 구매보조금 지원, 충전시설 구축 등 수요 정책뿐 아니라 '저공해자동차 보급목표제' 등 공급 정책도 추진한다.
저공해차 보급목표제는 자동차 판매사가 연평균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일부를 저공해차로 판매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2019년 4월 개정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올해부터 전국 단위로 시행되며, 환경부는 제도 실효성 제고를 위해 관련법을 개정하는 등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해 나갈 계획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올해는 미래차 20만대 시대가 열릴 것”이라며, “경유 화물차 등 미세먼지 배출이 많은 차량을 미래차로 적극 대체하고, 미래차 수요 제고는 물론 공급확대에도 역량을 집중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