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풍력·수산업계와 해상풍력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나선다.
해양수산부는 25일 산업통상자원부와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해상풍력 협의회를 열고 수산업계와 상생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까지 높이자는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해상풍력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어업구역 축소, 해양환경 영향 등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상호 협의를 통해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요구돼 왔다.
이에 산업부와 해수부는 지난 3월부터 유관기관과 함께 해상풍력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풍력·수산업계의 요구사항 등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 등을 논의해 오고 있다.
협의체는 수협중앙회, 한국풍력산업협회, 해양환경공단, 전력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남동발전, 한국에너지공단 등으로 구성됐다.
산업부 관계자는 "에너지전환과 체계적인 해양공간 관리는 어느 하나도 소홀히 할 수 없는 중요한 과제"라며 "그동안 양 업계에서 요구해 온 사항을 충분히 반영해 빠른 시일 내에 실효적인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