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최근 기록적인 홍수와 폭염 등 자연 재난이 일어나면서 기후변화를 대표하는 시대적 용어가 지구온난화에서 기후 위기로 변화했다.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분석해 담은 '미래안전이슈(Future Safety Issue) 17호'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국립재난연구원은 기후변화 관련 뉴스 32만 건과 논문·서적 60여 편을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하고, 대학·연구기관 등의 전문가 150명과 함께 기후변화와 대응에 영향을 미치는 7개 분야 32가지 요인을 발굴했다.
기후변화 대응에 미치는 7가지 분야로는 △국제협력 △제도와 정책 △대중의식 △거버넌스 △사회 △경제 △과학기술 등이 꼽혔다.
주요 요인으로는 ‘지나친 자국 우선주의’, ‘먼저 행동하지 않는 방관자 효과’,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소비행태’ 등 32가지 요인이 발굴됐다.
특히, 이러한 요인들로 인한 기후변화로 위험성이 증가될 미래 재난 및 피해 유형으로는 1위 홍수: 18.6%(도심침수), 2위 태풍: 17.2%(기반시설 마비), 3위 감염병: 16.7%(호흡기 감염병), 4위 폭염: 14.9%(대규모 초과사망자), 5위 가뭄: 11.1%(식수난 및 용수부족) 순으로 전망됐다. 내용을 살펴보면 5개의 재난 유형별 위험성 모두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과거의 재난은 하나씩 발생했던 것에 비해, 최근 재난은 동시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 돼 기후위기에 예방과 대응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후변화 대책의 효과적인 이행을 위한 6개 분야 13가지 미래전략 방향도 제시했다.
6개 분야로는 △국제사회의 기후변화 협력 강화 선도적 역할 △기후변화 정책의 우선순위 및 연계성 강화 △기후변화 대응 문화 조성 △기후변화 이해관계자 역할의 명확화 및 참여형 거버넌스 구축 △기후변화 대응 투자 불확실성 최소화 및 경제발전과 온실가스 감축 양립 환경 조성 △탈탄소 신재생에너지 기반 마련 등이다.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 150명 중 60%는 미래 기후변화가 부정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40%는 긍정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상권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은 “기후위기 시대, 기후변화 대책을 효율적으로 이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감대 형성과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하다”며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재난안전분야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개발 과제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