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6 (수)

  • 구름많음서울 19.6℃
  • 구름조금인천 17.6℃
  • 구름조금원주 19.6℃
  • 구름많음수원 19.3℃
  • 구름많음청주 21.5℃
  • 구름많음대전 22.1℃
  • 흐림대구 22.4℃
  • 구름조금전주 21.8℃
  • 구름많음울산 16.7℃
  • 구름많음창원 16.8℃
  • 구름많음광주 19.3℃
  • 흐림부산 15.3℃
  • 구름많음목포 16.5℃
  • 구름많음제주 21.8℃
  • 구름많음천안 20.6℃
  • 흐림구미 23.5℃
기상청 제공

이슈

[V헬스] 사랑니, 꼭 뽑아야 할까? 발치 여부 결정 기준은

 

[비건뉴스=김민정 기자] 치과를 찾는 다양한 연령층의 환자들 사이에서 사랑니 발치에 대한 궁금증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최근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사랑니를 반드시 뽑아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이 모호해 혼란을 겪는 이들이 늘고 있다. 특히 매복된 사랑니로 인한 통증과 염증 사례가 증가하면서 정밀 진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사랑니는 일반적으로 10대 후반부터 20대 초반 사이 위아래 어금니 가장 안쪽에 자라며, 사람마다 개수나 형태가 다르다. 모든 사랑니가 반드시 발치 대상은 아니며, 반듯하게 자라고 주변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엔 보존도 가능하다. 위생 관리가 어렵지 않고 인접 치아에 간섭이 없다면 굳이 제거할 필요는 없다. 다만 음식물이 자주 끼거나 염증이 반복된다면 예방적 발치를 고려한다.

 

문제가 되는 경우는 주로 매복 사랑니다. 턱뼈가 좁거나 공간이 부족할 경우 사랑니가 옆으로 누워 자라면서 인접 치아를 밀거나 잇몸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충치, 구취, 치열 변형 등이 생기며, 방치 시 턱뼈 내 낭종이나 신경 손상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하악 사랑니는 하치조신경과 가까워 발치 전 CT 촬영을 통한 정밀 진단이 필수적이다.

 

매복 사랑니는 일반 발치보다 복잡하며, 잇몸 절개나 치아 분할 등의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이때는 치아 위치, 신경과의 거리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해 수술 여부와 시기를 판단해야 하며, 숙련된 의료진이 있는 치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하다.

 

 

이러한 발치가 이루어진 후에는, 회복을 위한 철저한 사후 관리가 뒤따라야 한다. 출혈을 막기 위해 거즈를 물고, 2~3일간 냉찜질로 붓기를 완화한다. 일주일간은 음주, 흡연, 과격한 운동은 피하고, 발치 부위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식염수나 가글로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면 드라이 소켓 등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사랑니는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매복돼 있을 수 있으므로 정기 검진과 영상 촬영을 통해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 유무만으로 발치 여부를 판단하기보다, 전체적인 구강 구조와 치열 변화 가능성 등을 함께 고려해 결정해야 한다.

 

김포 풍무올치과 이승은 대표원장은 15일 본지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사랑니는 단순히 불편하다고 무조건 뽑는 것이 아니라, 치아의 위치, 주변 신경 구조, 구강 위생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문제가 없는 사랑니는 보존할 수 있지만, 매복 형태거나 주변에 영향을 줄 경우 정밀 진단 후 발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