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권광원 기자] 남극 해빙이 역대 최소 면적으로 줄어들었다는 보고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16일(현지시간) BBC는 현재 남극해에 떠 있는 해빙 면적이 1700만㎢ 미만으로 40년 만에 역대 최소 면적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해빙 면적은 9월 평균치보다도 150만㎢ 작은 수준으로 이는 영국 국토 면적의 5배가 사라진 것과 같다. 국립빙설데이터센터(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에서 해빙을 모니터링하는 월터 마이어(Walter Meier)박사는 BBC에 “남극의 해빙 감소는 지금까지 본 어떤 것보다도 훨씬 놀라운 일이다”라면서 “불안정한 남극은 광범위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라고 우려했다. 실제 남극 얼음은 태양 빛 에너지를 대기로 반사해 주고 인근 물 온도를 식혀주는 등 지구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런 해빙이 사라지면 바다는 더 많은 햇빛을 흡수해 따뜻해져 결과적으로 더 많은 얼음을 녹이는데 일조한다. 아울러 남극의 얼음 면적이 줄어드는 건 해수면 상승의 원인 중 하나로도 꼽히는데 실제 1990년대 이후 남극의 빙상 감소로 전 세계 해수면이 7.2㎜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남극의 해빙이 감소하면서 황제펭귄이 번식에 실패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5일 과학저널 ‘커뮤니케이션스 지구 & 환경(Communications Earth & Environment)’에 게재된 영국 남극연구소(BAS)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황제펭귄의 서식지인 남극의 해빙이 기온변화로 인해 녹으면서 새끼 펭귄 수 천마리가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연구진에 따르면 해빙은 황제펭귄의 번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4월부터 다음 해 1월까지 일 년의 대부분을 해안에 단단히 붙어 있는 안정적인 해빙에서 생활할 뿐만 아니라 5~6월 얼음 위에서 알을 낳는다. 알은 보통 8월에 부화하는데 이때 태어난 새끼들은 12월부터 이듬해 1월 사이까지 깃털이 완전히 나지 않은 상태로 얼음 위에서 생활하는 것이 필수다. 하지만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 사이의 남극 해빙은 45년 위성 기록 중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특히 해빙이 가장 많이 사라진 곳은 황제펭귄 서식지가 있는 남극반도 서쪽 벨링하우젠해 중부·동부 지역으로 지난해 11월에는 이 지역 해빙이 모두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진은 해당 지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