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서울 15.7℃
  • 맑음인천 14.1℃
  • 맑음원주 15.2℃
  • 맑음수원 12.3℃
  • 맑음청주 15.3℃
  • 맑음대전 15.0℃
  • 맑음대구 18.8℃
  • 맑음전주 11.4℃
  • 맑음울산 19.0℃
  • 맑음창원 18.9℃
  • 맑음광주 13.7℃
  • 맑음부산 19.3℃
  • 맑음목포 11.6℃
  • 맑음제주 14.0℃
  • 맑음천안 13.3℃
  • 맑음구미 16.5℃
기상청 제공

지구오염

“지구 허용량 내 육류 섭취량은 주당 255g”… 덴마크 연구진, 지속 가능한 식단 기준 제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구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할 수 있는 육류 섭취 한계는 주당 약 255g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일반적인 닭가슴살 두 조각 분량에 해당한다. 

 

덴마크 기술대학교(DTU) 산하 지속가능성 연구기관 ‘DTU 서스테인(DTU Sustain)’ 연구진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푸드(Nature Food)’에 게재한 논문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연구를 이끈 캐롤라인 H. 게바라(Caroline H. Gebara) 박사후연구원은 “우리가 분석한 다양한 환경 지표에 따르면, 붉은 고기를 식단에 소량 포함하더라도 지구가 감당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 △물 사용량 △토지 이용량 △건강 영향 등을 종합 고려해 전 세계 인구가 지속 가능하면서도 영양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식단 모델을 분석했다. 그 결과, 가금류 및 돼지고기 위주의 육류 소비는 주당 255g 이내일 경우 지구의 회복력에 부담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슈퍼마켓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닭가슴살 한 팩(약 280g)의 분량보다 조금 적은 양이다. 연구진은 일반 소비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해당 수치를 도출했다고 설명했다.

 

 

게바라 박사는 “많은 이들이 고기 소비를 줄여야 한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어느 정도가 ‘지속 가능한 수준’인지 명확히 알기 어렵다”며,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고 말했다.

 

연구의 또 다른 핵심은 지속 가능한 식단이 반드시 육류를 완전히 배제한 비건 식단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비건, 채식, 페스코(생선을 포함한 채식) 식단뿐 아니라 유제품, 계란, 일부 육류를 포함한 식단도 충분히 지속 가능할 수 있다고 밝혔다.

 

게바라 박사는 “예를 들어, 치즈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치즈를 포함하되 다른 요소에서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며, “반드시 흑백 논리로 접근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대안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10만 가지 이상의 식단 조합을 시뮬레이션해 도출한 결과로, 개인뿐 아니라 정책적 차원의 식단 가이드라인 설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진은 향후 보다 세부적인 식품군 별 가이드라인과 각 지역 특성에 맞는 권장 모델도 추가로 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 세계적으로 기후 위기와 식량 문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식단의 지속 가능성을 둘러싼 논의는 점차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그런 흐름 속에서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한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