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영양제, 상비약 등이 담긴 플라스틱통을 대체하고 지속가능한 의약 산업을 만들기 위해 힘쓰는 신생 스타트업이 화제다. 지난 1월 샤크탱크(미국 ABC에서 방영중인 사업 오디션 프로그램)에 출연해 도어대쉬(DoorDash) 설립자 토니 수(Tony Xu)와 케빈 오리어리(Kevin O'Leary)의 투자를 받아내 화제를 모은 스타트업 캐비닛 헬스(Cabinet Health)는 지속가능한 의약 산업을 만들기 위해 힘쓰고 있다. 시장조사 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19년 미국에서만 43억 8천만 건의 소매 처방이 조제됐으며 이는 모두 플라스틱 통에 제공됐다. 약국에서는 리필 의약품도 플라스틱 통에 제공하는데 이렇게 사용되는 플라스틱 약병이 약 1900억 개에 달한다. 또한 의약품에 사용된 플라스틱 약병은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의약품을 보관했다는 이유로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인식이 낮고, 대부분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러셀 공(Russell Gong) CEO는 플라스틱 통을 대체하고 처방이 없이 살 수 있는 대중약(OTC)를 보다 지속가능하게 제공하기 위해 제약 기업가인 아첼 페텔(Achal Pat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중국 충칭시가 불법 마약 및 폭발물을 탐지하는 임무에 다람쥐를 투입해 화제다. 지난 9일(현지시각) 중국 인민일보 등 현지 언론은 과학연구기관으로부터 6마리의 유라시아 붉은 다람쥐가 마약 탐색 훈련을 마치고 '다람쥐 탐색단'이라는 이름으로 충칭시 내 물류 창고와 배송 센터 등 현장에 투입됐다고 보도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가의 핵심 연구개발 프로젝트인 '신 마약 방지 동물의 사육 및 훈련 방법과 지원 자비 개발 및 적용'의 일환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마약 및 폭발물 탐지에는 훈련된 개들이 동원됐다. 하지만 보도에 따르면 다람쥐는 예리한 후각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작고 민첩해 좁은 공간에 들어갈 수 있고 마약 탐지견이 접근할 수 없는 높이까지 올라갈 수 있어 마약 및 폭발물을 탐지하기에 최적의 후보다. 경찰견 조련사이자 이번 다람쥐 탐색단의 훈련에 참여한 인 진(Yin Jin)은 “다람쥐를 훈련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지만 탐지견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이 다람쥐에게 매우 좋은 효과로 작용했다”고 전했다. 현장에 투입된 다람쥐는 불법 물질을 감지할 때마다 핸들러에게 경고하기 위해 표면을 긁도록 훈련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동물을 도축하지 않고 세포 배양을 통해 인공 육류를 만들어내는 시대가 왔다. 이에 국내 식품업계가 '육식의 미래'로 불리는 배양육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미래 식량으로 불리는 배양육은 식물성 재료를 통해 만들어내는 대체육과 달리 실제 동물의 세포로 만들어 일반 육류와 맛과 영양이 똑같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실제 축산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보다 훨씬 적은 양만을 배출하며 동물을 도축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20년부터 배양육 사업과 관련한 TF조직을 구성해 자체 연구활동 및 오픈 이노베이션을 이어가고 있다. 배양육 기술을 보유한 이스라엘의 '알레스 팜스', 싱가포르의 '시옥미트' 등 기업에 투자를 했으며 지난해 2월에는 케이셀 바이오사이언스(KCell Biosciences)와 동물세포 배양배지 및 배지 소재 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배양육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대상은 지난 2021년 동물세포 배양 배지 선도기업 '엑셀세라퓨틱스', 배양육 및 배양 배지 소재 선도 기업 스페이스에프와 각각 협업을 맺고 지분 투자를 했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 위치한 세계적인 테마파크인 디즈니랜드와 유니버셜 스튜디오에 새로운 비건 요리들이 도입된다. 지난 10일(현지시각) 페타(PETA)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대체 육류 브랜드 워싱턴(Worthington)이 월트 디즈니 월드 리조트와 유니버셜 올랜도 리조트가 협업을 맺었으며 총 8개의 신규 지점에 비건 참치와 식물성 대체육 페퍼로니를 출시했다고 보도했다. 디즈니 월드 리조트에는 워싱턴의 비건 참치를 사용한 샐러드와 샌드위치가 출시됐다. 식물성 참치를 곁들인 그리스식 샐러드에는 워싱턴의 비건 참치가 미키 마우스 모양으로 올라가 있으며 여러 가지 채소와 비스킷을 올려 완성했으며 식물성 참치 샌드위치는 통밀빵에 식물성 참치 샐러드를 메인으로 루꼴라, 오이, 절인 양파 등이 포함돼 건강한 한 끼를 책임진다. 두 가지 비건 요리는 디즈니 랜드 리조트 안에서도 올스타 스포츠 리조트, 올스타 무비 리조트, 올스타 뮤직 리조트, 팝 센추리 리조트, 아트 오브 애니메이션 리조트, 포트 올리언스 리조트에서 경험할 수 있다. 유니버셜 스튜디오에서는 워싱턴의 대체육 페퍼로니 슬라이스를 활용해 만든 피자 토츠(Tots)와 프렌치 프라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난해 드라마 촬영 현장에 동원됐다 사망한 퇴역 경주마 까미 사건으로 관련 제작진들이 검찰에 송치된 가운데 까미와 같이 경마에 출전하다 은퇴한 경주마들에 대한 적절한 복지가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됐다. 지난 13일 동물복지국회포럼, 위성곤 국회의원, 윤미향 국회의원을 비롯해 동물자유연대, 생명체학대방지포럼, 생명환경권행동 제주비건 등 단체들은 ‘퇴역 경주마 복지 개선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는 김성호 한국성서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란영 생명환경권행동 제주비건 대표가 ‘퇴역 경주마 전 생애 복지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 과제’를 주제로 발제했다. 아울러 이정삼 농림축산식품부 축산정책과장이 ‘퇴역 경주마 복지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 과제’를 제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공개된 한국마사회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월 31일 기준으로 지난 5년 동안 퇴역 경주마 7천 52마리 중 폐사 비율은 안락사를 포함해 47.9%이고, 소재지·소유자가 파악되지 않는 불명을 포함한 용도미정 비율은 10.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김란영 제주비건 대표는 매년 퇴역하는 경주마들에 대한 복지를 위해서는 이를 먼저 관리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1년 중 가장 로맨틱한 날인 발렌타인데이다. 사랑하는 사람과 시간을 보내는 발렌타인 데이에 특별한 식사를 경험하고 싶다면 다음 비건 레스토랑을 추천한다. 로맨틱한 분위기에서 즐기는 채식에 대한 새로운 경험이 잊지 못할 식사를 선사할 것이다. ‘점점점점점점’은 서울 망원동에 위치한 비건 레스토랑이다. 독특한 이름만큼이나 특별한 비건 요리가 있는 레스토랑으로 이미 비건 커뮤니티에서는 유명한 곳이다. 계절마다 조금씩 바꿔 선보이는 여섯 가지의 메뉴는 한식을 베이스로 해 익숙하면서도 특별한 맛을 선사한다. 음식만큼이나 군더더기 없고 깔끔한 인테리어도 눈길을 끈다. 점점점점점점은 제로웨이스트와 미니멀리즘을 표방해 테이블과 의자에 폐알루미늄과 코르크를 활용한 착한 인테리어를 선보인다. 보다 캐주얼한 분위기에서 특별한 요리를 즐기고 싶다면 알트에이를 추천한다. 이태원과 도산공원에 있는 알트에이는 식물성 대체 식품 전문기업 알티스트가 만든 비건 레스토랑으로 비건 중식을 즐길 수 있다. 깔끔한 외관과 더불어 편안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돋보인다. 알트에이에서만 맛볼 수 있는 된장 소스의 짜장면, 채수로 맛을 낸 매운 버섯 짬뽕 등 중식 베이스의 요리를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전국에서 매년 열리고 있는 소싸움이 전통문화가 아닌 동물학대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물자유연대와 녹색당은 13일 오전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싸움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현재 충북 보은, 대구 달성, 경북 청도, 경남 의령, 전북 정읍 등 11개 시군에서 소싸움 대회가 열리고 있으며 소싸움은 동물 학대로 처벌받지 않는다. 동물보호법 제8조는 ‘도박·오락·유흥 등 목적으로 동물에게 상해를 입히는 행위는 동물학대’라고 규정하지만 ‘민속경기 등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지정한 11개 지방자치단체장이 주관하는 소싸움 경기’만을 예외로 두기 때문이다. 이에 단체는 소싸움이 전통문화로 포장된 동물 학대 행위에 불과하며 동물보호법 제8조에서 소싸움을 예외 인정하는 조항을 삭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단체는 “자연 상태에서 싸우지 않는 초식동물인 소를 사람의 유희를 위해 억지로 싸우게 하는 것 자체가 동물학대”라며 “예외 조항을 삭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싸움의 동물학대 논란은 과거부터 이어져 왔다. 소들끼리 싸움을 하게끔 시키고 인간이 도박을 하고 돈을 버는 행위는 과거 전통문화인 소싸움의 본질과 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 1월 열린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스티로폼 폐기물에 대한 대안으로 새우껍질을 사용한 친환경 스티로폼이 개발돼 눈길을 끈다. 지난 8일(현지시각) CNBC 등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산타크루즈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 크루즈폼(Cruz Foam)이 새우와 게 등의 껍질로 만든 생분해성 스티로품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스티로폼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포장, 건축 등의 여러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티로폼은 플라스틱과 같은 성분으로 자연 분해가 되지 않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결국 잘게 부서져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해 해양생태계를 위협한다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여러 산업에서는 스티로폼 사용을 자제하고 있으며 미국의 뉴욕, LA 등 일부 주에서는 스티로폼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존 펠츠 (John Felts) CEO와 마르코 롤란디(Marco Rolandi) CTO에 의해 2017년 설립된 크루즈폼은 전 세계적으로 스티로폼 폐기물이 문제가 되자 스티로폼의 대안 개발에 나섰다. 크루즈폼은 농업폐기물서 나오는 전분과 함께 새우와 게 등 갑각류의 껍질을 형성하는 키틴(chitin)이라는 성분을 사용해 친환경 스티로폼을 개발했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환경과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가치소비 영향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화장품 업계에서도 이같은 의식있는 소비로 인해 비건 뷰티가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 9일 버드뷰가 운영하는 모바일 뷰티 플랫폼 화해는 사용자 데이터로 살펴보는 '2023 화해 뷰티 트렌드'를 발표했다. 이번 주요 트렌드는 국내외 시장 변화와 화해 사용자 데이터 분석에 기반해 뷰티 업계 내 새로운 움직임과 소비자 인사이트를 세 가지 주제로 정리했다. 화해가 제시한 올해 뷰티 트렌드는 의식있고 지속 가능한 소비, 색조 메이크업의 부흥, 간식처럼 안티에이징이다. 특히 의식 있는 화장품 소비인 '어웨어 뷰티' 트렌드가 더욱 뚜렷해질 전망이다. 화해가 제시한 어웨어 뷰티에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성분 배제, 동물성 원료 및 동물실험 배제, 친환경 포장 등의 클린 뷰티, 비건 뷰티까지 포함한다. 실제 지난 한 해 동안 화해 앱 내 비건, 환경 관련 키워드 검색량은 전년 대비 3.6배나 증가했다. 관련해 2022년 연령대별 검색 추이를 살펴보면 10대(260%), 20대(177%), 30대(151%), 40대(140%) 모두 증가세를 보였고 이는 어웨어 뷰티에 대한 관심사가 모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플라스틱은 한때 싼 가격에 가볍고 내구성이 좋아 인류 최고의 발명품이라는 찬사를 받았다. 하지만 플라스틱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관련 폐기물이 늘어났고 환경과 인류를 위협하는 존재로 지탄받고 있다. 최근 세계자연기금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인이 가장 분노하는 환경 문제로 ‘플라스틱 쓰레기’가 꼽히기도 했다. 이러한 플라스틱 폐기물을 줄이고자 하는 유통업계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일 세븐일레븐은 레귤러 사이즈(180g) 플라스틱 얼음컵을 종이얼음컵으로 전면 대체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월 업계 최초로 세븐일레븐이 선보인 레귤러 사이즈 종이얼음컵은 환경에 민감한 MZ세대에 큰 호응을 얻으며 250만개가 판매된 바 있다. 이러한 호응에 힘입어 올해부터 레귤러사이즈 얼음컵을 종이얼음컵으로 전면 교체 운영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세븐일레븐의 종이 얼음컵은 산림을 파괴하지 않고 생산한 목재와 종이 등에 부여되는 FSC인증을 받은 원지를 사용했으며 친환경 코팅 기술인 ‘솔 코트’를 사용했다. 솔 코트는 수분 투과율이 일반 종이컵 보다 30% 이상 낮고 차가운 음료를 보관해도 컵의 모양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을 만큼 기능과 내수성이 뛰어나면서도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과거 육식에 우호적인 자세를 취해오던 유명 셰프 고든 램지가 최근 오픈한 레스토랑에 식물성 메뉴의 비중을 60%로 확대해 눈길을 끈다. 독일 비건 전문지 베지코노미스트(Vegconomist)는 고든 램지가 지난 1월 30일 워싱턴 DC에 새로운 레스토랑 헬스 키친(Hell's Kitchen)을 오픈했으며 공개된 바에 따르면 메뉴의 약 60%가 고기를 사용하지 않은 식물성 또는 비건 요리라고 보도했다. 워싱턴 DC의 쇼핑 명소로 알려진 더 워프(The Wharf)에 400평에 달하는 넓은 매장에 자리잡은 헬스 키친은 샐러리 뿌리와 사과를 곁들인 구운 두부 가리비, 두부 버터넛 스쿼시를 곁들인 비건 리조또, 볶은 야채와 샐러드, 비건 요거트와 비트 샐러드 등 비건 코스요리가 준비됐다. 고든램지의 시그니처 레스토랑 오픈에 현지인들의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미 다음 달 예약이 꽉 찬 것으로 알려졌다. 전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유명 스타 셰프인 고든 램지는 고든램지 피쉬앤 칩스(Gordon Ramsay Fish & Chips), 고든램지 버거(Gordon Ramsay Burger) 등 6가지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에만 20개의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글로벌 기후 변화로 미래 식량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식물성 단백질을 비롯해 곤충 단백질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최근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두 가지 곤충을 식용으로 포함시켰다. 지난 2일 영국 언허드(UnHerd)와 독일 공영방송 도이치벨레(DW) 등 외신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집 귀뚜라미(House crickets)와 작은 거저리 유충(Lesser Mealworm Larvae)을 식용으로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식용 승인으로 인해 유럽에서는 작은 거저리 유충은 분말, 냉동, 페이스트 및 건조 형태로 판매가 가능하며 집 귀뚜라미의 경우 탈지 분말 형태로 판매 가능하다. 다만 식용으로 승인됐다고 해서 아무런 표시 없이 곤충 분말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예컨대 귀뚜라미 탈지 분말을 사용한 피자의 경우 곤충 성분이 함유됐다는 라벨을 반드시 부착해 소비자들에게 알려야 한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승인 문서에 “곤충을 먹을지 말지는 소비자가 결정해야 한다. 단백질의 대체 공급원으로 곤충을 사용하는 것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곤충은 세계 여러 곳에서 정기적으로 섭취된다”라고 밝혔다. 현재 유럽에서는 총 8가지의 곤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환경보호와 동물복지를 위한 동물 가죽 제품보다 비건 가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실리콘밸리' 신발로 잘 알려진 올버즈가 100% 비건 스니커즈를 선보여 눈길을 끈다. 올버즈코리아의 '올버즈((Allbirds)'는 100% 비건 라이프스타일 스니커즈 ‘플랜트 페이서(Plant Pacer)’를 7일 공개했다. 플랜트페이서는 새로운 혁신 소재인, 비건 가죽으로 만든 신상품이다. 보편적으로 쓰이는 마켓의 비건 가죽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지속가능성이 배제된 제품이었던 반면, 올버즈가 선보인 비건 가죽은 플라스틱이 전혀 들어가지 않은 ‘플라스틱 프리’ 소재다. 제품은 쌀, 감귤, 코코넛 껍질 등 농업부산물로 이루어진 친환경 재료만으로 제작했다. 올버즈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미국의 재료과학업체 내추럴 파이버 웰딩(Natural Fiber Welding, NFW)의 신소재 ‘MIRUM®(미럼)으로 만들었다. 일반적인 소가죽 생산 시 배출되는 탄소보다는 88%, 인조 가죽보다는 75% 더 적은 탄소가 배출된다. 디자인 면에서도 새로움을 강조했다. 측면의 아름다운 곡선 디자인과 식물성 가죽 위에 촘촘히 박힌 스티치 디테일로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밤거리를 밝히는 화려한 조명이 실은 지구 환경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지? 도시를 밝히는 반짝이는 조명은 ‘빛공해’를 유발하는데 이는 지구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빛공해란 인공조명이 너무 밝거나 지나치게 많아 야간에도 낮처럼 밝은 상태가 유지되는 현상을 가리킨다.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방지법’에 따르면 빛공해는 인공조명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한 과도한 빛 또는 비추고자 하는 조명영역 밖으로 누출되는 빛이 국민의 건강하고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거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전 세계 인구의 83%는 빛공해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도시의 불빛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된 독일 지구과학연구센터의 크리스토퍼 키바 박사 연구팀이 발표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추세로 빛공해가 계속 증가할 시 2040년에는 현재 밤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 10개 가운데 6개가 사라지게 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세계 시민과학자들이 참여한 육안 별 관측 프로젝트 글로브 앳 나이트(Globe at Night)에서 확보한 5만 1351개의 관측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사람이 사나운 황소를 상대로 싸우는 투우는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의 남부 일부 도시, 라틴 아메리카의 전통적인 오락 중 하나다. 그러나 대중들의 동물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동물을 이용한 오락이라는 점과 더불어 동물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동물 학대 행위로 지목되기 시작했다. 이에 투우를 금지시킨 국가가 등장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투우에 동원됐던 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동물보호소가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에 설립됐다. 지난 3일 미국 매거진 베지뉴스(Vegnews)는 콜롬비아에 세워진 보호소 토로 브라보 리저브(Toro Bravo Reserve)가 투우에 동원되는 황소를 구출하고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투우 경기에 대한 동물 학대 논란은 해묵은 논쟁거리다. 공연장에 들어선 황소는 살아서 나가는 법이 없기 때문이다. 투우사들은 황소의 목과 등에 칼을 꽂아 서서히 죽게 만들며 고통 속에 발버둥 치는 황소를 관객들은 환호하며 지켜본다. 휴메인 소사이어티 인터내셔널(Humane Society International)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18만 마리의 황소가 투우 경기에 동원돼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