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만평] LG전자 착한 캠페인…나무 심고, 꿀벌 키우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꿀벌이 동면에서 깨어나는 시기가 1주일 가량 앞당겨 지면서 사과와 배 같은 농작물의 수분(受粉)을 위협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국제학술지 ‘생태 및 진화(Ecology and Evolution)’에 게재된 영국 레딩대학교(The University of Reading) 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해 기온이 섭씨 1도 상승할 때마다 꿀벌이 평균 6.5일 빨리 겨울잠에서 깬다. 크리스 와이버(Chris Wyver) 레딩대학 농업 정책 및 개발 연구원 박사팀은 지난 40년간 야생 꿀벌 88종을 조사한 35만 건 이상의 연구 결과를 분석했고 그 결과 기온 변화에 대한 반응은 벌 종류에 따라 약간씩 달랐지만 10년마다 평균적으로 4일씩 빨라진 것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기상청에 따르면 영국의 겨울 기온은 2070년까지 1~4.5℃ 상승하고 습도도 30%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앞으로 봄은 계속 더 일찍 시작되고 꿀벌의 활동 시기도 앞당겨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연구진은 이와 같은 변화가 꿀벌이 의존하는 식물과의 타이밍을 놓칠 수 있으며 이는 꿀벌이 소비할 음식이 적을 수 있음을 의미한
[비건뉴스 서인홍 기자] '세계 벌의 날'은 매년 5월 20일에 기념하는 국제적인 행사다. 이날은 꿀벌과 다른 벌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꿀벌은 세계적으로 식물의 수분과 영양분을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꿀벌은 꽃의 수분과 영양분을 수집해 꿀을 만들어 내는데, 이 꿀은 인간의 식품과 의약품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꿀벌의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는 기후변화, 농약 사용, 병원성 바이러스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세계 벌의 날은 꿀벌과 다른 벌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호하기 위한 행사로서 매년 전 세계적으로 기념되고 있다. 따라서 꿀벌의 보호가 절실한 문제가 되고 있다. 꿀벌의 보호를 위한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꿀벌의 보호를 위해서는 농약 사용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약은 꿀벌에게 매우 위험한 물질이기 때문에 농약 사용을 최소화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대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꿀벌의 서식지를 보호하고, 꿀벌에게 필요한 식물을 심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세계 벌의 날을 맞아 우리는 꿀벌의 중요성과 보호 방안에 대해 더 많은 관심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5월 20일은 '세계 벌의 날'이다. 2017년 국제연합(UN)이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정한 기념일로, 멸종 위기에 처한 꿀벌을 보호하는 활동을하는 날이기도 하다. 이에 국내 여러 기업들도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꿀벌의 중요성과 꿀벌 생태계 회복을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KB금융그룹은 꿀벌이 서식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밀원수를 심었다. 지난 18일 KB금융은 임직원이 참여하는 밀원수 심기 행사를 강원도 홍천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꿀벌 생태계 회복을 위한 ‘케이비(K-Be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4년까지 강원도 홍천 등지에 10만 그루의 밀원수 묘목을 심는 ‘밀원숲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2년 숲 조성을 위한 부지 정리를 시작으로 기반 시설 설치, 적합 수종을 위한 테스트 조림(造林) 과정을 거쳐 올해부터는 묘목을 재배하는 식재·양묘 과정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이상 기후로 인해 전국적으로 동시에 꽃이 피고, 개화 유지 기간도 점점 짧아지고 있는 점을 고려해 헛개나무, 백합나무, 쉬나무 등 다양한 묘목으로 밀원숲을 조성하고 있다. KB금융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꿀벌 없이 만든 비건 꿀이 출시된 가운데 뉴욕의 유명 비건 레스토랑과 협업을 통해 소비자들을 만난다. 지난 12일 뉴욕의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인 일레븐 매디슨 파크(Eleven Madison Park)가 운영하는 식물기반 식료품 판매점 일레븐 매디슨 홈(Eleven Madison Home)은 공식 인스타그램을 통해 비건 꿀 ‘멜로디’와의 협업을 발표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둔 스타트업 멜리비오(MeliBio)는 몇 년간의 연구를 거쳐 비건 꿀 ‘멜로디’를 지난달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열린 ‘자연 제품 박람회(Natural Products Expo)’에서 소비자들에게 정식 출시했다. 일레븐 매디슨 홈은 “꿀벌 없이 만든 최초의 꿀 ‘멜로디’는 실제 맛과 모양이 꿀과 같지만 토착 수분 매개체에 해를 끼치지 않는다”라면서 “‘일레븐 매디슨 홈’은 멜로디를 구입할 수 있는 유일한 곳으로 멜로디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티와 꿀(Tea and Honey) 상자를 출시한다”라고 전했다. 일레븐 매디슨 홈은 멜로디 한 병과 함께 허니 오트 쇼트 브레드 쿠키, 허니 디퍼, 차 3종(히말라야 블랙, 선더드래곤 그린, 엘더플라워)을 세트로 한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제주를 비롯한 남부지방은 물론 강원과 충청, 경기 등 전국적으로 꿀벌 피해가 잇따라 일어나고 있는 가운데 5개 정부 부처가 꿀벌 실종에 대응하기 위해 머리를 맞댄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농업진흥청 농업과학원, 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 등 4개 기관과 꿀벌 실종에 대응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밀원식물의 개화기간 단축과 꿀벌 먹이자원 부족, 꿀벌 실종 등의 위기를 맞고 있는 양봉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해 진행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새로운 밀원자원 발굴과 기후변화 대응 신품종 육성 연구, 밀원단지 소득증진 모델 실증연구를 수행하며 국립농업과학원은 꿀벌 스마트 관리기술, 최적 영양 분석, 해충 관리, 벌꿀 생산 최적 모델 개발, 밀원별 양봉 산물 특성과 가치 평가 등을 맡는다. 또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꿀벌 질병 진단과 제어 기술을 연구해 꿀벌 스트레스 지표를 발굴하고 관리 기술을 개발하며 국립기상과학원은 밀원수 개화 시기 예측모형을 개발하는 등 양봉산업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한다.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화분 매개 생태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기후위기로 인해 다양한 종들이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추고 있는 가운데 꿀벌의 멸종위기는 생물 다양성 보존에 큰 위기를 의미한다.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에서 70% 이상이 꿀벌과 같은 화분 매개 동물의 수분 활동 도움을 받아 생산되기 때문이다. 해외 뉴스에서나 보던 꿀벌 실종 사건이 국내에 대대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지난 1월부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겨울에만 국내에서 월동 중인 사육 꿀벌 약 78억 마리가 사라졌다고 보고했다. 양봉업자와 전문가들은 이를 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의 시작으로 보고 대책 마련을 위해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군집붕괴현상이란 일을 하러 나간 꿀벌이 집으로 돌아오지 못해 여왕벌과 새끼 벌까지 집단적으로 죽는 현상을 의미하며 원인으로는 응애, 농약, 환경오염 등이 거론될 뿐 정확한 이유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 없다. 정부과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꿀벌 지키기에 매진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꿀벌의 먹이인 밀원(蜜源) 식물을 식재해 건강한 서식지를 만드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는 벌꿀의 70% 이상이 국내 주요 밀원수종인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지난 5월 20일은 ‘세계 꿀벌의 날’이었다. 2017년 국제연합(UN)이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꿀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정한 기념일이다. 도대체 꿀벌이 무슨 일을 하길래 생태계 보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걸까? 실제로 꿀벌은 꿀을 재배하는 것 이외에도 많은 일을 한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일은 식물의 꽃가루를 운반해 수술의 화분을 암술로 옮기는 수분 활동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하는 100대 농작물 중 70% 이상이 꿀벌의 수분으로 생산될 정도로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 밖에도 주변 환경에 민감한 꿀벌은 환경 지표종으로 여겨져 꿀벌이 활발하게 서식하는 곳은 생태계가 건강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지역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러한 꿀벌이 최근 기후위기 등 다양한 인간 활동으로 인해 사라지고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지난 22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벌집 군집 붕괴 현상(CCD), 꿀벌의 경고에 응답하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양봉 농가의 벌통 220여만 개 중 39만여 개(17.2%)에서 꿀벌 약 78억 마리가 집단 실종됐다. 벌집 군집 붕괴 현상이란
[비건만평] '5월 한달 잔디 깍지 않기' 미국·영국 시민의 환경보전법
[비건만평] 꿀벌을 희생하지 않는 착한…'비건 꿀'이 온다
[이창엽 만평] 미국 스타트업, '꿀벌 없는 꿀'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