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국제 동물권리의 날을 맞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동물권리 보장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10일 오후 한국동물보호연합, 한국채식연합,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 등 여러 단체가 주최한 이 행사는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로 구성됐다. 매년 12월 10일은 유엔이 정한 국제 동물권리의 날로, 동물도 인간처럼 고통을 피하고 행복하게 살 권리를 지니고 있음을 강조한다. 동물권리는 생김새나 지능, 언어가 아니라 동물도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인간이 영유아나 정신지체자, 혼수상태의 사람에게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듯이, 동물도 도덕적 권리를 갖는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동물권리가 천부적이며 고유하고 본래의 권리임을 강조하며, 그 누구도 이를 침해하거나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특히, 인간이 동물을 억압하고 착취하는 종 차별주의는 인종차별이나 여성차별과 같은 폭력적 사고 방식으로 반드시 극복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물권리는 동물의 고유한 가치로, 동물이 다른 사람의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취급돼서는 안 되며 존재 자체로서 존중받아야 한다. 비인도적이고 비윤리적인 동물 학대와 착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매년 12월 2일은 유엔이 지정한 '국제 노예제 철폐의 날'이다. 이를 기념해 한국동물보호연합과 한국채식연합, 한국비건연대, 비건세상을위한시민모임이 동물 노예제 철폐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2일 오후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를 통해 동물 착취의 문제를 알렸다. 인간을 대상으로 한 노예제는 점차 철폐돼 가고 있지만, 동물을 노예로 만드는 '동물 노예제'는 여전히 공고하다. 이는 동물을 기계나 물건처럼 여기는 '종 차별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다. '종 차별주의'는 인간 외의 동물종을 열등하게 보고 착취를 정당화하는 사고 방식으로, 인종차별이나 여성 차별과 다름없는 폭력적이고 차별적인 태도라고 주장했다. 동물도 인간처럼 감각과 지각을 지니고 있으며, 자유롭게 살아갈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영국의 철학자 제레미 벤덤은 "중요한 것은 동물이 인간처럼 이성을 가졌는가가 아니라, 고통을 느낀다는 점"이라고 말했고, 호주의 철학자 피터 싱어는 "동물도 지각, 감각 능력을 지니고 있어 보호받아야 할 도덕적 권리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오늘날의 공장식 축산은 동물에게 있어 아우슈비츠와 다름없으며, 닭과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10월 4일은 ‘세계 동물의 날 (World Animal Day)’이다. 동물 복지와 동물 권리 보호를 장려하고 인간과 동물의 유대감을 강화하려 노력한 독일의 동물학자 하인리히 짐머만의 제안으로 1931년 이탈리아 플로렌스에서 열린 '국제동물보호회의'에서 제정됐다. 세계 동물의 날에는 동물복지 단체를 비롯해 전 세계 다양한 자선 단체들이 동물 보호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전개한다. 한국동물보호연합은 이 날 오후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명서를 통해 동물복지와 권리를 위해 비건 채식으로 전환할 것으로 촉구했다. 먼저 단체는 전 세계에서 매년 약 1000억 마리 이상의 소, 돼지, 닭 등 농장 동물이 희생되는 공장식 축산업에 대해 언급했다. 단체는 “과도한 육식문화로 인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식용으로 키워지는 동물들은 감금틀 사육 아래에서 짧고 고통스럽게 희생된다”라면서 동물을 생명이 아닌 평생 알 낳는 기계, 소시지 등으로 희생하는 배터리 케이지 사육을 비판했다. 또한 단체는 우리나라가 동물실험의 천국으로 전락했다고 전했다. 단체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마리 이상의 마우스, 토끼, 개, 원숭이 등이 인간의 실험을 위해 고통을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영국 런던 거리에 소 젖을 짜는 착유기를 단 여성의 포스터가 전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영국의 식물 기반 전문지 플랜드베이스드 뉴스(plantbasednews)는 런던의 쇼디치(Shoreditch) 퍼트니(Putney) 해크니(Hackney) 등의 번화가에 착유기를 단 여성의 포스터가 전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고 보도했다. 광고에는 한 여성이 상의를 탈의한 채 소 젖을 짜는 기계를 몸에 달고 있다. 이는 마치 실제 젖소들이 우유를 짜기 위해 착유기를 달고 있는 것과 비슷한 모습을 재현한 듯하다. 공식 SNS에 공개된 광고 영상에는 이러한 여성 위로 ‘그녀는 어머니이며, 그녀는 딸이다. 공장식 농업을 끝내라’라는 글귀가 적혀져 있다. 보도에 따르면 해당 포스터는 비건 사회 기업인 ‘종차별주의 WTF(Speciesism WTF)’가 기획한 광고 캠페인으로 영국에 있는 약 200만 마리의 젖소들의 운명을 묘사하고, 종차별주의를 비판하고자 기획됐다. 종차별주의는 인간이 다른 동물보다 우월하며, 이러한 우월성으로 동물을 인간보다 도덕적 가치가 덜하다고 취급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차별주의 WTF’의 창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기후변화로 인해 서식지가 파편화되면서 인간과 야생동물 사이에 갈등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난 27일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변화(Nature climate change)에 실린 워싱턴대학교 생태계 감시 센터(University of Washington Center for Ecosystem Sentinels)의 연구에 따르면 기후위기가 인간과 야생동물 간의 갈등을 키우고 있다. 연구팀은 지난 30년 동안 발표된 인간과 야생동물 사이에 갈등에 대해 다룬 논문을 분석했으며 최근 10년 동안 발표된 논문의 수가 그 전 20년보다 4배 가까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이 분석한 갈등 사례는 총 49건으로 6개 대륙, 5개 대양을 비롯해 육상, 해양, 담수 등 전 세계 모든 환경에서 야생동물과 인간 사이의 갈등이 늘어났다는 것을 발견했다. 동물의 종에도 제한은 없었다. 포유류, 파충류, 조류, 어류 심지어 무척추 동물까지 포함해 인간과의 갈등을 일으키고 있었다. 연구진이 분석한 대부분의 갈등 유발 요인은 기온과 강우량 변화로 이들 사례 중 80% 이상을 차지했다. 갈등의 결과는 인간의 사망과 부상이 전체의 43%, 동물의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매년 1000억마리 이상의 닭, 소, 돼지 등 동물이 우리의 식탁에 오르기 위해 희생되고 있다. 수생동물의 수까지 합하면 오직 인간을 위해 희생되는 생명은 천문학적인 숫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간과 똑같이 고통을 느끼는 동물을 죽이고 먹는 행위에 대해 한국채식연합은 ‘종차별주의’에서 비롯된 사고방식이라고 전했다. 6일 오후 1시 광화문 광장에서 열린 한국채식연합의 1인 기자회견에서 이원복 대표는 이와 주장하며 육식을 중단하고 비건 채식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 ‘종차별주의’는 인간 제일주의에 기반해 인간이 아닌 다른 종을 인간의 수단이나 도구로 생각하는 폭력적인 사고 방식이다. '동물 해방'의 저자인 철학자 피터 싱어는 종차별주의를 자기가 소속된 종의 이익을 옹호하면서 다른 종의 이익을 배척하는 편견과 왜곡된 태도라고 정의했다. 주최 측은 "종차별주의는 현대의 인종차별, 성차별과 같이 인류가 반드시 극복해야 할 편견"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의 주장을 인용해 공장식 축산업을 현대판 아우슈비츠에 비유하면서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범죄 중 하나라고 밝혔다. 이어 "말 못하는 사회적 최약자인 동물들을 학대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