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0 (목)

  • 맑음서울 -2.0℃
  • 맑음인천 -2.5℃
  • 맑음원주 -0.7℃
  • 맑음수원 -1.7℃
  • 맑음청주 -1.8℃
  • 맑음대전 -2.2℃
  • 맑음대구 1.9℃
  • 맑음전주 -1.3℃
  • 맑음울산 1.1℃
  • 맑음창원 2.3℃
  • 맑음광주 -0.6℃
  • 맑음부산 2.7℃
  • 구름많음목포 0.4℃
  • 구름많음제주 3.2℃
  • 맑음천안 -2.0℃
  • 맑음구미 -0.6℃
기상청 제공

전국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포털 개방 데이터 10만 건 돌파! 데이터의 질적 개방에 박차를 가한다

공공데이터 개방 10만 2천여 건, 지적도, 대기오염정보, 자동차 종합정보 등 최다 활용

 

[비건뉴스=최지영 수습기자] 행정안전부는 2013년 문을 연 공공데이터포털에 개방된 공공데이터 목록이 10만 2천 건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공공데이터포털(이하 포털) 개시 당시(2013년) 개방 건수는 5천여 건이었으나, 각 기관의 적극적인 데이터 개방 노력으로 12년 만에 개방 건수가 20배 증가해 개방 건수 10만 건을 넘어섰다.

 

포털을 통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국회 등 1,100여 개 기관이 국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제공 중이다.

 

가장 많이 활용된 데이터는 연속지적도, 환율 정보, 대기오염정보, 시군구 정보, 단기예보, 특일 정보, 자동차 종합정보, 교통CCTV 등이다.

 

가장 많이 개방된 분야는 공공행정(14.9%), 문화관광(12.1%), 산업고용(9.3%), 교통물류(8.3%), 환경기상(7.8%) 순이다.

 

 

포털에 개방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만들어진 모바일 앱·웹 서비스는 총 3,131개로 해마다 200~300개씩 증가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데이터 개방을 확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형식을 개선하고 개방 방식을 다양화했다.

 

대표적으로, 특정 소프트웨어에 제한되지 않고 기계판독이 가능한 ‘오픈포맷 데이터(확장자 CSV, XML등)’ 비중은 초기에 8.7%에서 현재 98.6%로 크게 늘었다.

 

실시간 정보 제공과 활용 편의성 제고를 위해 ‘오픈API’ 제공 방식을 확대했고,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진위확인 서비스’, ‘재현데이터’ 등의 개방 방식도 도입했다.

 

행정안전부는 공공데이터법이 제정된 2013년부터 각 기관의 데이터 개방을 촉진하기 위해 범정부 계획 수립과 이행 지원·관리, 공공데이터 품질 제고 등 많은 노력을 해왔다.

 

2013년 ‘범정부 공공데이터 개방 5개년(2013~2017년) 로드맵’을 수립해 각 기관의 보유데이터를 전수 조사하고 연차별 목표를 제시하고 기관별 이행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2019년에는 ‘범정부 공공데이터 중장기(2019~2021년) 개방계획’을 수립하고 법정평가를 기반으로 이행실적을 관리하고, 개방 이행 컨설팅을 제공해 1년 만에 개방데이터 건수가 60% 이상 증가했다.

 

2023년부터는 메타데이터관리시스템에 등록된 테이블을 기반으로 각 기관의 개방계획과 이행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또한 '공공데이터 개방표준'(2014년)과 '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2020년)를 제정하고 품질평가·수준진단을 통해 기관별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수준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과 성과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OECD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4회 연속 1위(2015년, 2017년, 2019년, 2023년)와 OECD 열린정부 부문 1위(2020년)를 달성했다.

 

향후 행정안전부는 AI시대 수요를 충족하는 데이터와 기관 핵심데이터를 개방하는 등 질적 측면의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AI 서비스 개발에 적합한 양질의 공공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AI 친화적인 공공데이터 개방과 활용 환경 조성에 주력한다.

 

AI 서비스 개발의 수요가 높은 분야에 대해 그간 개방이 미진했던 비정형데이터를 AI 학습에 적합한 형태로 범용성 있게 정제·가공하여 AI 학습용 공공데이터로 본격적으로 개방할 예정이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찾고, 비정형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포털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공공데이터법 개정을 통해 데이터 개방 저해 요인 해소, 가명처리 데이터 활용, 품질인증의 법적 근거 마련 등 양질의 공공데이터 개방 환경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도 정비 중이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그동안의 성과를 기반으로 앞으로 AI 친화적 공공데이터를 대폭 개방하여 국내 AI 개발·확산에 기여하는 등 국민·기업 수요에 맞는 공공데이터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배너
추천 비추천
추천
0명
0%
비추천
0명
0%

총 0명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