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한국채식연합 등 시민단체 회원들이 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이 7일 열렸다. 이날 오후 1시부터 시작된 기자회견은 한국채식연합, 비건플래닛, 한국비건연대가 주최했으며, 성명서 낭독과 피켓팅, 퍼포먼스 등이 진행됐다. 참석자들은 비건 채식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비건(VEGAN) 채식 함께하자", "비건(VEGAN) 채식 실천하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비건 채식이 개인의 건강과 동물 보호,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발표된 성명서에서는 비건 채식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강조하며, 고혈압, 심장병, 암, 당뇨병 등의 질병과 육식의 관계를 지적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의 발표에 따르면, 가공육은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며, 붉은 고기는 2군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또한, 동물 사육의 비윤리성을 지적하며 매년 1000억 마리가 넘는 동물이 인간의 음식으로 희생되고 있다고 전했다. 역사학자 유발 하라리는 이를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범죄 중 하나'라고 언급했다. 기후 변화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축산업이 전체 온실가스의 18%를 차지하고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LF는 비건 뷰티 브랜드 ‘아떼(athe)’가 일본의 대표 버라이어티샵 로프트(LOFT)에 입점했다고 7일 발표했다. 아떼 뷰티는 1일 ‘로프트 코스메 페스티벌 2025 SS’에 참가해 브랜드의 대표 제품인 어센틱 립밤 3종과 립 글로이 밤 3종을 선보였다. 이들 제품은 현재 도쿄 시부야, 신주쿠, 오사카 우메다 등 일본 주요 도심의 매출 상위 30개 로프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LF는 일본 시장 전용 마스크팩과 멜레이저 앰플 등 제품군을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로프트는 일본 내 최대 규모의 버라이어티샵으로, K-뷰티를 포함한 글로벌 브랜드들의 주요 진출 채널로 자리잡고 있다. 로프트 코스메 페스티벌은 2014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대형 화장품 행사로, 로프트가 직접 엄선한 브랜드만 참가할 수 있어 신뢰도와 주목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LF 아떼는 일본 뷰티 시장이 오프라인 중심으로 형성된 만큼, 이번 로프트 입점이 아떼를 효과적으로 알릴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일본 소비재 데이터 기업 플래닛(Planet)의 조사에 따르면, 일본 여성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버라이어티샵과 드럭스토어 등 오프라인 매장에서 화장품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비건 식단이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일부 레스토랑의 비건 옵션이 건강보다는 가공식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루이빌 대학교(University of Louisville)와 시카고 대학교(University of Chicago)의 연구진은 미국, 유럽, 호주 등지의 560개 이상의 비건 메뉴 제공 레스토랑을 3년간 분석한 결과, 많은 식물성 메뉴가 건강에 좋지 않은 재료로 구성돼 있음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연구진은 "건강을 중시하는 고객이 건강한 식물성 품목과 건강에 좋지 않은 식물성 품목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영양 정보 공개에 대한 투명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많은 레스토랑이 1인분 크기, 칼로리, 나트륨, 총 지방, 포화 지방, 총 설탕 또는 첨가 설탕 함량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소비자들이 정보에 입각한 선택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비건 및 채식 레스토랑은 상대적으로 더 건강한 식물성 요리를 제공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육류를 함께 제공하는 레스토랑에서는 건강하지 않은 식물성 옵션이 많이 발견됐다. 특히 정제 곡물, 포화 지방, 튀긴 음식이 건강에 좋지 않은 주요 요인으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대상 다이브스의 복음자리가 집에서도 간편하게 브런치의 근사함을 즐길 수 있는 '브런치 테이블'의 신제품 '식물성 두부마요소스 어니언'을 출시했다. 최근 건강한 방식으로 노화를 늦추는 '저속노화'(Slow Aging) 트렌드가 급부상하면서,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습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복음자리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식물성 두부마요소스 고소참깨'와 '식물성 두부마요소스 매콤명란'에 이어 이번 '식물성 두부마요소스 어니언'을 새롭게 선보이며 식물성 베이스 소스 라인업을 강화했다. 신제품 '식물성 두부마요소스 어니언'은 신선한 냉장 두부를 사용해 부드러운 식감과 깔끔한 풍미를 살린 두부마요 베이스에 양파를 더해 감칠맛을 높였다. 아삭하게 씹히는 오이피클을 넣어 상큼한 끝맛과 식감을 더했다. 또한, 설탕 대신 올리고당을 사용해 부드럽고 건강한 단맛을 내며, 식물성 유지인 카놀라유를 넣어 재료 본연의 맛을 살렸다. 이 제품은 최근 건강 식단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하와이 전통 음식 포케 샐러드에 뿌려 먹거나, 또띠아나 김에 넣어 김밥 등으로 만들어 가볍고 건강한 한 끼 식사를 즐길 수 있다. 야채를 찍어 먹는 디핑소스로도 적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음식에서 비롯되는 탄소 배출량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최근 개선된 탄소 라벨 디자인이 소비자들의 음식 선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매쿼리대학(Macquarie University) 연구진은 식욕(Appetite) 저널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환경 영향을 인식하게 됐을 때 동물성 식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진 것으로 밝혀졌다. 탄소배출량에 대한 라벨이 중요해지면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전의 연구에서는 탄소 라벨의 영향이 미미하다고 평가돼 왔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에서 사용된 라벨은 종종 정량적 정보만을 제공하고, 숫자에 대한 맥락이 부족했다. 또한, 식물 기반 제품과 동물 기반 제품 간의 배출 차이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했다. 이에 이번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항목 매핑 라벨을 도입했다. 이 라벨은 음식 항목과 배출량을 연결하도록 설계됐으며 A(탄소 저배출)에서 E(탄소 고배출)까지의 탄소 점수와 함께 주로 식물 또는 동물로 만들어진 음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포함돼 있었다. 연구 결과, 이러한 라벨은 특히 지속 가능한 식사에 더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동물 기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풀무원건강생활이 식물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 브랜드 ‘풀무원건강식물원’의 대표 제품 5종을 국내 대표 헬스&뷰티 플랫폼 ‘올리브영’의 전국 27개 주요 매장에 공식 입점한다고 5일 발표했다. 최근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제품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2024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6조 440억 원으로, 2020년 대비 1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원료와 기능성을 꼼꼼히 따지는 ‘스마트슈머’로 변화하고 있으며, 식물성 및 멀티 기능 제품 등 개인의 기준에 맞춰 구매하는 경향이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풀무원건강식물원은 이러한 시장 흐름 속에서 국내 식물성 건강식품 시장을 선도하며, 올리브영의 대표 식물성 건강식품 브랜드로 선정됐다. 풀무원건강식물원은 바른먹거리 가치를 담은 식물 유래 건강식품으로 인정받아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까지 입점이 확대됐으며, 강남, 명동점, 광복타운점을 포함한 전국 27개 주요 매장에서 소비자들을 만날 수 있다. 이번에 선보이는 제품은 ‘파이토 에너지 샷’을 포함해 ‘바나바잎 혈당컷’, ‘파이토 프로틴 볼’, ‘파이토 스테롤
[비건뉴스=서인홍 기자] '건강과 동물, 지구를 살리는 비건(VEGAN) 채식 촉구' 기자회견이 개최된다. 오는 7일 오후 1시 서울 광화문 이순신 동상 앞에서 열리는 이번 행사는 한국채식연합·비건플래닛·한국비건연대가 주최하며, 성명서 낭독, 피켓팅, 퍼포먼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될 예정이다. 주최 측은 비건 채식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건강과 환경, 동물권 보호의 중요성을 알릴 계획이다. 연구에 따르면, 고혈압, 심장병, 암, 당뇨병 등 주요 사망 원인은 육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전 세계 질병 사망의 약 80%가 육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는 가공육을 1군 발암물질로, 붉은 고기를 2군 발암물질로 분류했다. 또한, 매년 전 세계에서 1000억 마리 이상의 동물이 육식 소비를 위해 희생되고 있으며, 이는 인류 역사상 전쟁으로 사망한 인원보다 많은 수치다. 유발 하라리 역사학자는 이를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범죄 중 하나'라고 지적한 바 있다. 환경 문제와 관련해서는 축산업이 온실가스 배출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으며, 세계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축산업은 전체 온실가스의 18%를 차지한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지중해식 식단의 긍정적 효과가 비만 관련 암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영국 옥스퍼드대 산하 유럽 암·영양 전향적 연구팀(EPIC)의 연구에 따르면, 지중해 식단을 잘 따르는 것이 비만 관련 암의 위험을 다소 줄이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2015년 국제암연구소(IARC)의 기준에 따라 비만 관련 암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높은 지중해식 식단 준수율을 보인 참가자들은 체지방 측정과는 독립적으로 암 위험이 6%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는 1992년부터 2000년까지 10개 유럽 국가의 23개 센터에서 35세에서 70세 사이의 52만 1324명의 참가자를 등록해 진행됐다. 최종 분석에는 기초 암 진단, 누락된 데이터, 극단적인 에너지 섭취 비율, 그리스 코호트 데이터를 제외한 45만 111명의 참가자가 포함됐다. 연구자들은 검증된 국가별 설문지를 통해 참가자들의 식이 섭취를 평가하고, 9점 지중해 식단 점수(MedDiet)를 사용해 준수를 계산했다. 참가자들은 낮은(0–3), 중간(4–6), 높은(7–9) 준수 그룹으로 분류됐다. 다변량 콕스 비례 위험 회귀 모델을 통해 흡연, 신체 활동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과거에 식물 기반 식단으로 전환하는 주요 동기 중 하나였던 동물 복지와 환경에 대한 우려가 이제는 육류와 유제품 소비를 줄이는 이유로서 그 중요성이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ESG 전문매체인 트렐리스(Trellis)는 다국적 여론 조사 기관인 글로브스캔(Globescan)와 비영리 단체 EAT가 함께 조사한 'Grains of Truth' 보고서를 인용해 건강이 육류 소비를 줄이는 가장 큰 이유로 부각됐으며 조사 응답자의 41%가 이를 주요 동기로 꼽았다고 보도했다. 이는 31개 시장에서 3만 명 이상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들의 조사에서 재정적 고려는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다. 17%의 응답자가 가격이 더 많은 식물 기반 식품을 소비하게 만든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4년 전 12%에서 증가한 수치다. 반면, 동물 복지를 주요 이유로 언급한 응답자는 15%로, 2020년의 20%에서 감소했다. 환경적 고려를 주요 동기로 삼은 응답자는 14%로, 이전의 12%에서 소폭 증가했다. 이러한 변화는 육류와 유제품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의 약 14.5%를 차지한다는 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