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권광원 기자] 버려지거나 매립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 해양 생태계를 위협해 국제적인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최근 미국의 연구팀이 두 가지 박테리아를 통해 플라스틱을 분해시키는 새로운 박테리아를 개발했다. 최근 미국 화학공학회지(AICHE)에 발표된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교(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연구진은 플라스틱 성분 가운데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해양 속에서 원활하게 분해할 수 있는 해양 미생물을 유전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해 해양에서 점점 증가하는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에 주목했고 그 가운데서도 결국 매립지로 흘러 들어가는 다운사이클링 성분인 PET를 분해하는 데 집중했다. 이에 연구진은 바닷물에서 번성하는 박테리아 비브리오 나트리겐스(Vibrio natriegens)와 PET를 분해하고 대사하는 효소를 생성하는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Ideonella sakaiensis) 박테리아 종을 가지고 바다에서 PET를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개발했다. 연구진은 이데오넬라 사카이엔시스의 DNA를 추출해 세포의 고유 염색체에 의존하지 않고 세포 내에서 독립적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플라스틱 폐기물이 잘게 분해되면서 생산되는 미세플라스틱은 5㎜ 이하의 미세한 크기로 해수면을 떠다니며 해양 환경에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은 지구 어디에서나 발견되며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데 최근 북극 바렌츠해(Barents Sea)에서 급증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다. 최근 학술지 ‘프론티어 오브 사이언스(Frontiers of Science)’에 게재된 플라이마우스 해양 연구소(Plymouth Marine Laboratory)와 엑서터 대학교(University of Exeter)의 연구는 바렌츠해의 광범위한 횡단면에서 지하수 샘플을 수집해 미세플라스틱의 분포를 정량화하고 지도화했다. 아울러 연구진은 이를 통해 해양 먹이그물의 기본 요소인 동물성 플랑크톤 군집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이해하고자 했다. 연구진은 바렌츠해 동부에서 해수 입방미터 당 0.011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찾을 수 있었으며 그 수는 횡단면의 남쪽 끝과 얼음 가장자리를 향해 북쪽, 즉 육지 근처에서 더 많이 발견됐다.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섬유질(92.1%)로 구성됐으며 일반적으로 파란색(79%), 빨간색(17%)였다. 또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구 어디에서나 존재한다고 알려진 미세플라스틱이 구름에서도 발견되면서 지구 전체가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됐다는 보고가 나왔다. 또한 연구진은 구름 속에서 발견되는 미세플라스틱이 기후변화를 부추긴다고 분석했다. 최근 학술지 ‘환경화학 레터스(Environmental Chemistry Letters)’에 게재된 일본 와세대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 폐기물이 마모돼 작은 크기로 변한 미세플라스틱이 일본 최대 산인 후지산과 오야마산 정상의 구름에서 발견됐다. 연구진은 플라스틱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남극과 북극, 해저 깊은 곳에서부터 인간의 신체 등에서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발견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자유 대류권(free troposphere)과 대기 경계층에까지 미세플라스틱으로 오염됐는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에 연구진은 해발 1300~3776m 사이의 일본의 가장 높은 산 두 곳인 후지산과 오야마산을 대상으로 정상에 근접해 있는 구름수(cloud water)를 수집했다. 실험 대상이 된 후지산 정상은 자유 대류권에 위치하고, 오야마산은 대기 경계층에 있으며, 둘 다 지구 대기의 가장 낮은 층에 속한다. 연구진은 수집된 구름수를 이미징 기술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에 담은 이유식 제품을, 전자레인지를 사용해 데울 경우 수십억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방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는 미국 네브레스타-링컨 대학(University of Nebraska-Lincoln)의 연구를 인용해 플라스틱 이유식 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수십억 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방출돼 영유아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연구팀은 미국의 마트에서 흔히 구입할 수 있는 어린이 이유식 용기를 대상으로 전자레인지에 넣어 제품을 데울 시 미세플라스틱이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 실험을 진행했다. 이유식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을 받은 플라스틱인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든 두 개의 이유식 용기와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재사용 가능한 파우치에 든 이유식 등 총 3가지 제품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탈이온수 또는 3% 아세트산(유제품, 과일, 채소 및 기타 상대적으로 산성인 소모품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를 채운 다음 1000와트 전자레인지에서 3분 동안 최대 전력으로 가열했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자연에서 생성된 2차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핵심단백질자원센터 최성균 센터장, 경북대 수의학과 박진규 교수 연구팀은 환경으로 유입된 플라스틱이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실험실 수준에서 구현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섭취 시 뇌 안에서 신경독성 물질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간 800만 톤이 버려지고 있는 플라스틱은 자외선과 파도 등에 의해 매우 작은 조각들로 부서져 2차 미세플라스틱으로 바뀐다. 이를 플랑크톤 등 하위 생명체들이 섭취하게 되고, 결국에는 먹이 사슬 최상위에 위치한 인간에게까지 위협을 준다. 연구팀은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으로부터 자연 풍화로 인해 생성된 2차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우선 분쇄한 미세플라스틱에 7일 동안 자외선 조사 및 물리적 충격을 가해 인위적으로 자연 풍화에 의한 것과 같은 2차 미세플라스틱을 제작했다. 이를 통해 환경으로 유출된 플라스틱이 자외선, 파도 등 환경적 요인에 의해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실험실 수준에서 모방한 생성 모델을 확립했다. 이후 2차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버려진 플라스틱 폐기물이 마모되거나 태양광 분해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지며 생긴 미세플라스틱은 인류의 건강과 지구에 만연한 문제가 됐다. 심각한 문제로 떠오른 미세플라스틱의 위험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장에 축적되는 작은 미세플라스틱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근 국제나노의학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에 발표된 미국 터프츠 대학교(Tufts University)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 장을 모방한 소형 조직 배양인 인간 장 오가노이드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 결과 염증성 장 질환(IBD)과 관련된 사이토카인의 방출을 포함해 잠재적인 염증 효과를 드러냈다. 연구에 따르면 미세 플라스틱과 그보다 더 작은 나노 플라스틱은 환경과 인간의 몸 구석구석에 쌓이고 있다.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입자는 바다와 빙상에 이르기까지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에서 찾을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우리는 매년 약 7만 40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를 의도치 않게 소비하게 된다. 이에 연구의 주저자인 잉 첸(Ying Chen) 터프츠 대학교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시력교정, 패션 등을 위해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최근 콘택트렌즈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이 눈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돼 눈길을 끈다.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 Xpress) 보도에 따르면 학술지 환경 과학 및 기술(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에 게재된 중국 난징대학교 환경 오염 제어 및 자원 재사용의 국가 핵심 연구소는 매일 착용하는 콘택트렌즈에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조각이 눈으로 들어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진은 여러 브랜드의 다양한 수명을 가진 6가지 종류의 콘택트렌즈를 수집하고 렌즈를 물에 보관했다가 햇빛을 모방한 램프 아래에 보관하면서 정상적인 착용 및 관리를 재현했다. 이들은 10시간마다 콘택트렌즈를 물로 헹궜으며 30일 또는 90일에 해당하는 햇빛을 받은 후 각 렌즈가 저장된 물을 분석했다. 샘플의 미세플라스틱 수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샘플의 현미경 이미지를 촬영하고 해당 이미지를 처리하고 존재하는 모든 미세플라스틱을 정량화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설계했다. 표준 양의 미세플라스틱을 사용한 테스트에서 팀은 샘플을 수동으로 분석할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매년 6월 8일은 세계 해양의 날(World Oceans Day)이다. 1992년 캐나다가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실행한 리우 회의에서 제안한 기념일로, 유엔에서 2008년 공식적으로 채택해 세계 기념일이 됐다. 세계 해양의 날은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바다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해 만들어진 날이지만 이러한 바다 생태계를 위협하는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18배 나 늘어났다는 보고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7일(현지시각) 가디언, BBC 등 외신은 세계에서 가장 먼 해양 환경을 여행하는 오션 레이스(Ocean Race) 동안 바다를 테스트하는 선원들은 모든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연구는 6만 2000km 오션 레이스 중에 수행되는 과학 프로그램의 일부로 선원들은 과학 연구 선박이 거의 도달하지 못하는 지역에서 해수 온도, CO2, 산소 및 미량 원소에 대한 귀중한 데이터를 수집해 다양한 과학 단체 및 대중과 공유한다. 미세플라스틱 조사의 오션 레이스의 샘플은 1월에 시작해 7월에 끝나는 경주의 초기 구간에서 수집됐으며 지구에서 육지에서 가장 먼 것으로 간주되는 남대서양을 통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플라스틱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플라스틱에서 비롯된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커지고 있다. 이에 국내외 연구진은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실시하고 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은 미세플라스틱 크기가 작을수록 심장에 더 큰 위협이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은 환경질환연구센터 정진영 박사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을수록 체내에 더 많이 축적돼 더 큰 위협이 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5㎜ 미만의 작은 크기인 미세플라스틱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지거나 환경에 유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풍화작용을 거치면서 만들어진다. 하수처리시설에서 걸러지지 않고 강이나 바다로 그대로 흘러 들어가 환경을 파괴한다.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 물고기는 인간의 건강에 해를 끼친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된다. 아울러 미세플라스틱은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유기 오염물질과 흡착하는 특성이 있어 복합 독성에 의한 위험성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미세플라스틱이 인간의 신체에 미치는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대 민물고기인 제브라피시와 발암물질의 하나인 벤조안트라센(BaA)을 이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미세플라스틱의 크기가 작을수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최근 전 세계에서 플라스틱 폐기물이 문제로 떠오르면서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가운데 재활용이 오히려 미세플라스틱을 더 많이 배출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제 학술지인 유해물질 관련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Advances) 최신호에 실린 스코틀랜드 스트라스클라이드(Strathclyde) 대학을 중심으로 한 국제 연구팀은 영국의 최첨단 재활용 공장에서 연구를 수행한 결과 놀랍게도 이 시설에서 처리된 플라스틱의 13%가 폐수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으로 환경에 다시 방출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폐수 입방미터 당 약 750억 개의 플라스틱 입자에 해당한다. 에리나 브라운(Erina Brown)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 수석 연구원은 “재활용이 문제를 줄이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고안되었기 때문에 이번 연구 결과는 무섭다”라면서 “공장에 설치된 정수 시스템은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13%에서 6%로 줄일 수 있었지만, 미세플라스틱 배출 수준은 여전히 놀라울 정도로 높았다”라고 전했다. 연구진은 수질 오염 외에도 재활용 시설 주변 공기에도 높은 수준의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된 것을 발견했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수병에서 1mL당 1억 개가 넘는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돼 충격을 자아낸다.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Norwegi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과 중국 난카이 대학(Nankai University), 벨기에 헨트 대학(Ghent University)의 국제 연구팀은 ‘환경 과학 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저널에 발표한 연구에서 노르웨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생수에서 나노 플라스틱이 1mL당 1억 개가 넘게 발견됐다고 밝혔다. 나노플라스틱은 지름이 1㎛(마이크로미터, 1000분의 1㎜)보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말한다. 연구진은 노르웨이에서 판매되고 있는 4개 브랜드의 페트병 생수 제품을 실험군으로 생수 시료를 유리 섬유 필터 여과막으로 여과한 뒤 여과막을 통과한 물을 분석, 여과막에 걸린 나노플라스틱을 전자현미경으로 분석했다. 유리 섬유 필터 여과막은 구멍 지름 100㎚(나노미터, 100㎚=0.1㎛)였다. 그 결과 시료 1mL에 나노플라스틱이 평균 1억6600만 개가 들어 있었으며 나노플라스틱의 평균 크기는 88.2㎚에 달했다.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플라스틱에서 비롯된 미세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한 오염 물질로 인식되고 있는 가운데 미세플라스틱이 태아 때부터 뇌에 축적돼 신경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국내 연구가 발표됐다. 부산대는 분자생물학과 정의만 교수팀이 미세플라스틱이 태아 때부터 뇌에 축적돼 신경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고 25일 밝혔다. 해당 논문 제목은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의한 비정상적 행동 유발'로 엘스비어社에서 환경 분야 세계적인 저널 유해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실렸다. 신경발달은 뇌가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뇌는 경험과 자극에 반응해 언어·인지·감정조절 등 다양한 능력을 형성한다. 신경 발달이 일어나는 시기에 유전적·환경적 원인으로 중추신경계가 손상되면 신경 발달장애를 유발한다. 타고난 유전적 원인과 달리 환경적 원인은 화학물질을 비롯한 오염물질의 노출 및 생체 축적, 성장 과정 중의 경험 및 스트레스, 보호자와의 관계 등 다양한 양태를 보인다. 연구팀은 환경적 원인 중 미세플라스틱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 미세플라스틱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플라스틱 폐기물이 늘어나면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미세플라스틱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현대 성인 70%가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인크루트는 온라인 설문조사 전문기관인 두잇서베이와 함께 성인 남여 4008명을 대상으로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진행한 설문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인크루트에 따르면 플라스틱 폐기물에서 나오는 환경호르몬에 대해 얼마나 민감해 하는지에 대해 응답자들은 △전혀 민감하지 않다(1.6%) △별로 민감하지 않다(11.1%) △보통이다(35.5%) △대체로 민감하다(37.6%) △매우 민감하다(14.1%)고 답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을 얼마나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 63%은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을 많이 쓰는 편’이라고 답했으며 나머지 37%는 ‘플라스틱을 잘 쓰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미세플라스틱의 유해성을 알고 있으며 얼마나 위협감을 느끼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전혀 못 느낀다(0.9%) △대체로 못 느낀다(7.1%) △보통이다(24.8%) △약간 느낀다(45.3%) △매우 많이 느낀다(21.9%)로 응답자의 약 70% 정도가 미세플라스틱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한국 주변 해역에서 서식하는 고래, 바다거북 등 대형해양동물의 몸 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다량 검출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충격을 준다. 지난 12일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Marine Pollution Bulletin) 4월호에 실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김태원 교수 연구진의 ‘한국에 좌초한 대형해양생물 체내 미세플라스틱(Microplastics in large marine animals stranded in the Republic of Korea)’ 논문에 따르면 2019∼2021년 한국 해변에서 죽은 채로 발견된 대형해양동물 12마리를 해부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이 무려 1902개가 발견됐다. 매년 바다로 배출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490만~1270만mt(미터톤)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중 15∼31%가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분석하는데 이는 바다로 흘러들어온 플라스틱 쓰레기가 태양광에 노출될 경우 쉽게 부식돼 0.13㎍ 이하 초미세플라스틱과 670㎍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으로 부서지기 때문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해변에서 발견된 상괭이 7마리와 참고래 1마리, 남방큰돌고래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2019년 기준으로 미세플라스틱 입자 170조 개, 약 230만 톤이 전 세계 바다를 떠다니고 있다는 과학적 추산이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8일 미국 비영리단체 5대 환류대 연구소(5 Gyres Institute)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가 담긴 논문 ‘증가하는 플라스틱 스모그, 현재 전 세계 해양에 170조 개 이상의 플라스틱 입자가 떠 있는 것으로 추정됨’을 과학저널 프로스원(PLOS One)에 게재했다. 5대 환류대 연구소는 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이들은 지난 1979년부터 2019년까지 북대서양, 남대서양, 북태평양, 남태평양, 인도양, 지중해 등 6개 해양 지역의 1만1777개 관측소에서 수집된 해수면 플라스틱 입자 데이터를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에 따르면 1979년부터 1990년까지의 넓은 구간은 명확한 플라스틱 양을 감지하는 것이 어려웠으며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플라스틱의 농도는 명확한 등감이 없었다. 하지만 2005년 이후 전 세계 해양에서 플라스틱 양과 표층 플라스틱 분포가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 기준으로 조사 대상 6개 해양 지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