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2030년까지 산림벌채를 종식하겠다는 COP26의 서약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파괴된 열대우림은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27일(현지시각) CNN, 유로뉴스 등 외신은 미국 메릴랜드 대학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세계자원연구소(WRI)과 글로벌 포레스트 워치(Global Forest Watch)의 보고서를 인용해 산림벌채가 전년 대비 10% 증가하면서 410만 헥타르 이상의 원시 열대림이 파괴됐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농업, 광업 및 기타 상업 활동을 위해 열대우림이 개간됨에 따라 1분에 축구장 11개의 숲을 잃었다고 설명했으며 삼림 벌채로 인해 2022년에 생성된 탄소 오염의 양은 인도의 연간 화석 연료 배출량과 맞먹는다고 밝혔다. 가장 큰 열대 우림 지역 중 하나인 브라질은 지난해 전 세계 숲의 43%에 달하는 가장 많은 열대 원시림을 벌채했으며 국가의 산림 손실률은 2021년에서 2022년 사이에 15% 증가했다. 이 밖에도 콩고민주공화국이 2022년에 주로 농업을 위한 개간으로 인해 50만 헥타르 이상을 잃었고, 가나는 2021년에 비해 열대우림 파괴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아울러 볼
[비건뉴스 최유리 기자] 팜유는 팜나무의 열매를 압착해 추출하는 기름으로 가정에서 식용으로 먹진 않지만 먹거리를 비롯해 화장품, 비누, 세제 등 팜유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이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팜유는 식물에서 추출되며 동물성 원료가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표면적으로는 채식에 적합하다. 그러나 팜유 생산이 환경과 동물에 미치는 파괴적인 영향을 생각한다면 비거니즘의 진정한 의미와는 거리가 멀다. 전 세계 팜유 생산의 90%를 담당하고 있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열대 우림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격리하고 나무에 뿌리에 저장함으로써 탄소 흡수원으로 역할을 한다. 지구 온도 상승을 막는 소중한 자원인 것이다. 하지만 팜유 농장을 위해 인간은 열대 우림을 태우고 야생 동물들을 쫓아낸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벌채된 숲, 통제되지 않은 화재 등으로 인해 열대 우림의 면적은 급격하게 줄어들었다. 세계자연보호기금은 1시간에 축구장 300개 면적에 달하는 열대 우림이 팜유 산업으로 인해 파괴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아울러 지속가능성 전문 시장조사기관인 체인지릭션리서치(CRR)는 팜유 주요 수출국인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파푸아뉴기니에서만 2년 만에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브라질 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구의 열대우림지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지구 산소의 20% 이상을 생성해 과거 ‘지구의 허파’로 불린다. 하지만 대두 산업으로 인해 아마존이 불타 없어지고 있다. 지난 2006년 그린피스는 이러한 대두 산업의 확산이 아마존 산림파괴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에 세계 최대 곡물유통업체인 번기, 카길, 루이드레퓌스 등이 아마존에서 2006년 이후 새롭게 생산되는 대두를 사들이지 않겠다는 대두 모라토리움(Soy Moratorium)규정을 만들었고 이후 이를 지지하는 기업들 사이에 삼림 벌채 제로(Zero-Deforestation) 서약을 맺었다. 하지만 최근 이러한 서약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자아낸다. 환경연구회보(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발표된 캠브리지 대학, 보스턴 대학, ETH 취리히, 뉴욕 대학의 연구원들이 수행한 연구에 따르면 2021년까지 최소 94개 기업에서 삼림 벌채 제로(Zero-Deforestation) 서약이 이뤄졌지만 처음 대두 모라토리움이 만들어진 2006년부터 2015년 사이에 아마존의 삼림 벌채는 단 1.6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최근 세계자연기금(WWF)은 전 세계 야생동물 개체군이 지난 반세기 동안 6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이 발표한 ‘지구생명보고서2022’에 따르면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자연환경이 심각한 위기 상황에 처해 있으며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해당 보고서의 내용을 접하자마자 떠오른 기업이 하나 있다. 바로 1995년 세워진 영국의 화장품 브랜드 러쉬다. 이미 러쉬는 수년 간 비영리단체 수마트라 오랑우탄 협회(SOS)와 함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복원을 위해 힘쓰고 있기 때문이다. 러쉬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수마트라는 오랑우탄을 비롯한 야생동식물의 서식지로 불린다. 특히 수마트라 열대우림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웨스트 토바 지역은 오랑우탄, 호랑이, 긴팔원숭이 등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의 주요 서식지로 이들의 보존을 위해서는 반드시 보존돼야 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팜유 산업을 위해 팜나무 농장을 조성하면서 열대우림을 개간해 수많은 동식물이 죽고 서식지를 잃어 멸종위기를 맞은 상태로 웨스트토바 지역도 안전하지 못한 상황이다.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에 따르면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세계적 멸종위기종인 오랑우탄의 서식지를 뺏고 산림을 훼손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팜유를 대체할 배양 팜유가 개발되고 있다.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비교적 가격 경쟁력이 우수해 대부분의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팜유는 사실 열대 우림을 망치는 원인이 된다. 세계에서 가장 큰 팜유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의 경우 실제 공장의 숫자가 많지 않음에도 중국, 미국에 이어 세 번째 온실가스 배출국이 된 것에는 팜유 농장 개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이다. 이는 탄소 배출만의 문제가 아니다. 팜유 생산을 위해 열대우림을 태워 없애면서 그곳에서 생활하던 많은 동물들이 살 곳을 잃게 되는 것이다.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지난 1990년부터 팜유농장을 지속적으로 확대한 인도네시아의 경우 2018년까지만 하더라도 31만㎢에 달하는 열대우림이 사라졌다. 인도네시아의 섬, 수마트라 르우제르 국립공원은 오랑우탄과 호랑이, 코끼리, 코뿔소 서식지로 유명하다. 하지만 이 섬에 팜 나무 생산지가 확대되면서 이들 야생동물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2017년 국제학술지 커런트바이올로지에 게재된 연구는 1999년부터 16년 동안
[비건뉴스 권광원 기자] 러쉬코리아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열대우림을 보호하기 위한 캠페인을 마련했다. 러쉬코리아는 인도네시아 북부 수마트라의 생태계를 보호하는 단체인 수마트라 오랑우탄 협회(SOS)와 손잡고 '웨스트 토바 포레스트(West Toba Forest·WTF)' 캠페인을 연다고 30일 밝혔다.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열대우림 가장자리에 있는 웨스트 토바는 오랑우탄을 비롯한 다양한 야생동물들이 서식하는 곳이다. 러쉬코리아는 웨스트 토바의 중요성을 알리고 주변 열대우림을 보호하는 지역 공동체를 지원하고자 이번 캠페인을 진행한다. 러쉬코리아는 웨스트 토바 포레스트 캠페인을 위해 새로운 배쓰밤 ‘오랑우탄’을 한정 출시한다. 부가세를 제외한 판매 수익금 전액은 기금으로 마련한다. 새롭게 출시된 배쓰밤 ‘오랑우탄’에는 수마트라에서 재생 방식으로 얻은 원료인 파촐리 오일 함유돼 특별함을 더했다. 배쓰밤 속에는 '여러분이 함께 지키는 오랑우탄의 고향. 수마트라 열대우림의 숨소리에 귀 기울여보세요'라는 글귀가 적힌 쪽지가 담겨 있어 배쓰밤이 물에 녹아 사라지고 나면 확인할 수 있으며 쪽지에 담긴 QR코드를 통해 실제 웨스트 토바 숲 소리를 녹음한 음원을 감상할 수 있어
[비건만평] 시민단체 "국내 제지업체가 인도네시아 열대우림 파괴" 비판
[비건뉴스 김규아 기자] 아마존 열대우림이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파괴되고 있다. 브라질 현지 언론은 개발 이익을 중시하는 보우소나루 정권이 집권한 이래로 아마존 산림 벌채 면적이 집권 전 기간에 비해 74% 증가했다고 전했다.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INPE)와 국제 환경단체 그린피스의 자료에 따르면 보우소나루 정권이 출범한 후 1000일 동안 열대우림 파괴 면적은 2만4100㎢에 달한다. 이는 축구 경기장 330만 개에 해당하는 것으로 하루 평균 축구 경기장 3300개 넓이의 열대우림이 파괴됐다는 뜻이다. 산림 벌채 이외에도 산불 발생량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2019년에는 2018년에 비해 화재 발생이 30.5%가 증가했고 2020년에는 전년 대비 15.7%가 증가했다. 지난 8월에만 2만8000여 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아마존 열대우림 화재는 대부분 농경지와 목초지를 확보하기 위한 고의 방화 탓으로 현 정부 이익 위주의 환경정책이 근본적인 원인이다. 브라질의 아마존 열대우림은 탄소 흡수와 저장 능력이 뛰어난 열대우림이 조성돼 있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는 자정기능을 담당해왔기에 열대 우림 국가 중 가장 강력한 보호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현 정부
산업 혁명 이후 지구의 온도가 0.85도나 올랐다. 겨우 10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을 뿐이다. 이는 전 세계가 지구온난화에 대처해야 하는 이유다. 아주 작은 기온 변화도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많은 과학자가 밝혀냈다. 인간이 자초한 재앙, 이 시각 지구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편집자주] [비건뉴스 김민영 기자] ‘산소 공장’이자 ‘지구의 허파’로 불리던 브라질 아마존이 제 기능을 잃었다. 브라질 아마존 지역에서 기후위기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흡수량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지난달 29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브라질 아마존 지역에서 흡수량보다 약 20%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에 배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아마존 열대우림이 난개발과 잦은 산불로 황폐해졌고 더는 지구의 허파 역할을 기대하기 어려워졌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 브라질의 아마존 유역은 166억톤 이산화탄소를 배출했다. 같은 기간 흡수한 이산화탄소량은 139억톤에 그쳤다. 프랑스 국립농림과학원(INRA)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위성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숲이 자라면서 흡수·저장하는 이산화탄소의 양과 숲이 불타거나 파괴될 때 대기 중으로 방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