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건뉴스=권광원 기자] 입자의 크기가 5mm 이하인 미세플라스틱은 환경오염과 더불어 인체에 흡수돼 여러 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 혈관 내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뇌졸중, 심장병 위험이 4배 이상 높다는 연구가 나와 충격을 자아낸다. 지난 7일(현지시간) 뉴 잉글랜드 의학 저널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발표된 이탈리아 캄파니아 루이지 반비텔리(Campania Luigi Vanvitelli)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혈관 내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된 사람들은 뇌졸중, 심장병, 조기사망 등의 위험이 4배 이상 높다. 먼저 연구진은 동맥질환이 있는 환자의 혈관에서 제거한 지방 플라크를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미세한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PVC) 입자로 오염된 상태였다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경동맥에 영향을 미치는 죽상동맥경화증을 가진 환자 304명으로부터 채취한 지방 플라크를 분석한 결과 150명에게서 폴리에틸렌이, 31명에게서는 PVC가 발견됐다. 경동맥은 뇌, 얼굴, 목 등에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혈관으로, 죽상동맥경화증은 동맥에 플라크를 쌓이게 해 뇌졸중의 위험을 크게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시청률을 자랑하는 오스카 시상식이 4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기후변화 시대에 걸맞는 새로운 벡델 테스트가 등장해 눈길을 끈다. 지난 5일(현지시간) 할리우드리포터 등 외신은 영화 속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언급이 얼마나 드러나는지에 대한 척도로 새로운 벡델 테스트가 도입됐다고 보도했다. 벡델테스트는 1985년 미국의 여성 만화가 앨리슨 벡델이 고안한 개념으로 남성 중심 영화가 얼마나 많은지 계량하기 위해 고안한 영화 성평등 테스트다. 영화 속에서 이름을 가진 여자가 두 명 이상 나오고 이들이 서로 대화하며 대화 내용에 남자와 관련된 것이 아닌 다른 내용이 포함돼야 하는 등 세 가지 기준을 통해 벡델테스트에 통과 유무가 결정된다. 기후변화 시대에 맞춰 새롭게 등장한 벡델테스트인 ‘기후 현실 점검(Climate Reality Check)’은 비영리그룹 굿에너지(Good Energy)가 미국 컬비대학교(Colby College)의 매튜 슈나이더-마이어슨(Matthew Schneider-Mayerson)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과 함께 영화가 기후변화에 대한 표현을 얼마나 드러내는지 측정한 지표다. 이러한 기후변화 기후 현실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코로나19로 인한 여행 제한이 사실상 사라지면서 해외여행을 가는 이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세계 주요 도시가 늘어난 항공편으로 인해 대기오염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글로벌 싱크탱크 ‘ODI’가 ‘교통과 환경(Transport & Environment)’과 협력해 보고서 ‘2024년 공항 추적기’를 발표하고 여객기 항공편과 항공 화물로 인한 대기오염 영향을 분석했다. 이들은 전 세계 1300개 공항의 화물 및 여객기에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과 초미세먼지(PM2.5) 배출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두바이, 도쿄, 런던, 프랑크푸르트, 파리 샤를 드골, 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을 포함하는 상위 20개 공항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약 2억 3100만 톤이었다. 이는 58개 석탄 화력 발전소가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며 3100만 대의 승용차와 동일한 양의 질소산화물과 초미세먼지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발표된 데이터로 전 세계에서 가장 대기오염이 심각한 공항으로 손꼽힌 두바이 국제공항은 올해 보고서에서 민간 공항이 6개나 있는 영국 런던에 밀려 3위를 기록했다. 1위를 차지한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기성세대가 초래한 기후변화가 미래 세대에게 큰 부담을 안기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조산 위험이 크게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충격을 자아낸다. 최근 환경저널 종합 환경 과학(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게재된 연구는 성인보다 어린이가 기후 관련 건강 위협에 취약하며 다양한 질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연구진들은 특정 유형의 미래 기상 현상이 인구의 의료 문제를 어떻게 악화시킬 것인지 확인하고 기후 변화의 영향에 대해 미래 세대의 건강 결과를 완화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부의 계획을 알리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은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 분석의 보고 양식인 프리즈마(PRISMA) 지침에 따라 2023년 1월 5일까지 발표된 연구 가운데 대규모 온라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해 관련 연구 163개를 추렸고 각 연구를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관련 정량적 데이터를 집계했다. 이후 메타 분석에서 정량적 데이터를 사용해 효과 크기를 표준화하고 기후 변수와 건강 결과의 다양한 그룹 간에 효과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진들은 글로벌 데이터를 통해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어린이에게 평생 합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환경실천연합회(이하 환실련)가 세계 환경의 날을 기념해 ‘제23회 국제 지구사랑 작품공모전’(이하 작품공모전)을 개최한다. 올해로 23회째를 맞는 작품공모전은 나이, 지역에 상관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국제 환경 프로그램으로, 2002년 처음 개최돼 지구 사랑과 환경보호 실천을 이끌어왔다. ‘만지작(만들어봐 지구사랑 작품공모전)’이라는 부제를 가진 이번 공모전은 지구온난화, 탄소중립, 대기, 수질, 자원순환, 에너지, 야생동물 등 다양한 환경 주제로 진행되며 3월 4일(월)부터 4월 12일(금)까지 문예(표어, 시, 글짓기), 미술(포스터, 회화), 미디어(사진, 영상) 분야의 참가 신청을 받는다. 특히 미디어(영상) 분야의 경우 일반영상(1분~3분 내외)과 숏폼영상(10초~60초 내 세로 형태) 두 부문으로 나눠 참가할 수 있다. 참여 방법은 환실련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작성한 후 문예·미디어 분야는 온라인 접수, 미술 분야는 접수증을 부착해 우편으로 보내면 된다. 분야별·대상별 전문가 심사 후 △대상 1명(200만원) △금상 4명(각 100만원) △은상 11명(각 50만원) △동상 28명(각 20만원) 등의 본상과 국회의장상,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둠스데이 빙하(Doomsday Glacier)’라고 불리는 서남극의 스웨이츠 빙하(Thwaites Glacier)가 무서운 속도로 녹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국립과학원 회보(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저널에 발표된 휴스턴 대학교 지질학과와 영국 남극 조사국(British Antarctic Survey)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스웨이츠 빙하가 녹기 전 모습을 재구성한 결과 1940년 이후로 빙하는 회복력을 잃고 급속도로 녹고 있다. 스웨이츠 빙하는 한반도 전체면적과 비슷한 크기를 가진 빙하로 남극 내부에서 바다로 얼음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장벽 역할을 한다. 이에 스웨이츠 빙하가 완전히 붕괴될 경우 재앙적인 홍수가 발생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지구온난화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학자들은 현재 스웨이츠 빙하가 지구 해수면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4%에 미치지만, 빙하의 붕괴 정도에 따라 그 영향이 25%까지도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구체적으로 만약 스웨이츠 빙하가 모두 바다에 잠기면 해수면은 65cm 정도 상승하며 주변의 빙하까지 영향을 줘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덕성여대가 기후위기 대응역량과 실천력을 겸비한 글로벌 미래인재를 양성하고자 진행한 '기후지킬 원정대'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를 지었다. 최근 덕성여자대학교 기후환경위기대응사업단은 2023년도 2학기에 처음 시행하는 ‘기후지킬 원정대’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사회 융합인재 양성사업의 일환이다. 덕성여대가 주최하고, 기후위기시대의 공존과 상생 분야 컨소시엄 5개 대학(국민대·덕성여대·인하대·울산대·조선대)이 참여했다. 이 프로그램은 2~5명 학생들이 팀을 구성해 자신들의 관심사와 문제의식에 따라 국내외 기후위기 현장을 주도적으로 탐색하고 기획할 기회를 제공한다. 선정된 학생들은 탐방 지역의 피해 및 극복 노력을 조사하고 방문 국가와 지역의 유관 대학, 공공기관, 기업, 시민단체를 방문해 기후위기를 타개할 해법을 고민한다. 제1회 ‘기후지킬 국내·해외 원정대’ 프로그램은 작년 11월 27일부터 한 달 동안 팀 단위로 학생들을 모집했고, 올해 1월 3일 최종 선발된 국내 4팀과 해외 12팀의 명단을 발표했다. 53명의 학생들로 구성된 16개 팀은 1월 9일부터 2월 8일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환경재단은 두나무,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과 함께 진행한 생물다양성 보전 프로젝트 ‘시드볼트 NFT 컬렉션’ 시즌1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식물의 고유성과 대체불가토큰(NFT)의 특성을 결합, 세계 유일 야생식물 종자 영구 저장 시설 ‘시드볼트(Seed Vault)’의 주요 식물 종자 이미지를 NFT로 제작하고 업비트 NFT로 발행해 생물다양성과 산림생태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진행됐다. 지난해 세계 토양의 날(12월 5일)에 시작해 올해 2월 23일까지 총 3개월 동안 진행된 프로젝트에서 참여자들은 야생 식물이 멸종된 세계에서 식물을 되살리고 지구를 구하는 미션 수행 ‘요원’으로 활약해 몰입감을 높였다. 프로젝트 마지막인 최종 드롭(NFT가 대중에 공개되는 것) 단계에서는 씨앗 NFT와 발아 및 영양 키트가 공개됐고, 총 3회에 걸쳐 진행된 생물다양성 지식 테스트에는 8000여 명이 참여해 생물 다양성의 가치를 전했다. 최종적으로 모든 미션에 참여한 사람에게는 시드볼트에 종자가 첫 입고된 2월 23일 ‘세뿔투구꽃’, ‘개병풍’, ‘우산나물’ 등 멸종 위기종 식물 정보와 함께 식물 NFT가 지급됐다. 또 식물을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지구의 허파로 불리던 아마존 열대우림이 극심한 환경오염으로 인해 30년 뒤 티핑포인트를 넘어설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된 브라질 산타카타리나 대학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가뭄, 벌목,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아마존 열대우림의 10~47%가 2050년에는 생태계 복원이 불가능한 티핑포인트에 도달하게 된다. 티핑포인트란 작은 교란이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임계값으로 삼림 벌채가 계속되면서 아마존 일부 지역의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의미다. 아마존 열대우림은 지구상에서 가장 중요한 생태계로 육상 생물의 10% 이상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대우림은 막대한 양의 탄소를 저장하고 기후를 안정시키는 냉각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아마존 열대우림은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소에 노출되면서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로 가고 있다. 연구진은 지구 온난화, 강수량, 계절에 따른 강우 강도, 건기 기간, 삼림 벌채 등 아마존에 ‘스트레스’를 주는 5가지 요인의 추세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아마존이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이른바 안전한
[비건뉴스=최유리 기자] 2024년 하계올림픽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릴 예정인 가운데 이번 올림픽에서는 저탄소 올림픽을 실현하기 위해 식물성 식단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최근 파리 올림픽 주최 측은 전년도에 비해 식물성 식품 소비량을 두 배로 늘릴 것이며 전체 제공되는 식사의 60%를 식물성으로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파리올림픽 주최 측은 친환경 올림픽을 구현하기 위해 올림픽 전체 탄소 배출량을 50%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는 식단에서 식물성 식품을 늘리는 방안도 더해졌다. 주최 측은 올림픽과 패럴림픽 기간 동안 총 1300만 끼의 식사가 제공될 예정이며 메뉴가 정확히 어떤 단계의 채식일지 발표되지 않았지만 약 60%의 식단을 식물성 식단으로 채울 예정이라고 전했다. 특히 이번 식물성 식품 공급의 중심에는 네슬레 소유의 식물성 브랜드 가든 고메(Garden Gourmet)를 중심으로 식물성 메뉴를 구성한다. 지난해 말 주최 측이 공개한 메뉴에서는 가든 고메가 밀로 만든 패티, 퀴노아와 다양한 야채로 구성된 채식 샐러드, 타히니 소스와 팔라펠을 곁들인 버거 등이 소개되기도 했다. 이 밖에도 식단에는 식물성 참치, 식물성 너겟, 필레 등 다양한 대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할리우드 스타이자 환경운동가로도 활동 중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Leonardo Dicaprio)가 호주의 멸종위기에 처한 스위프트 앵무새(swift parrot)를 위해 나섰다. 지난 9일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6220만 명의 팔로워들에게 태즈메이니아의 앵무새 번식 서식지가 지속적으로 파괴되고 있다며 이를 멈추기 위한 서명에 참여해 달라고 전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스위프트 앵무새는 꼬리가 넓은 앵무새의 일종으로 호주 남동부에서만 발견되는데 빅토리아주와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겨울을 보내고 여름에는 태즈메이니아섬 전역에 흩어져 있는 숲에서 서식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태즈메이니아에 계속된 벌목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호주 연방 과학산업연구기구(CSIRO)가 발행한 가이드에 따르면 스위프트 앵무새는 10년 전 2000마리에서 약 750마리로 감소했다.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스위프트 앵무새를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10년 안에 완전히 멸종할 수 있으며 산림업이 생존에 가장 큰 위협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밖에도 호주 국립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지구온도 상승으로 그린란드의 동토가 점차 식생지와 습지로 변화하고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지난 13일(현지시간) 가디언, CNN 등 외신은 영국 리즈대(University of Leeds)의 연구결과를 인용해 눈과 얼음의 땅인 그린란드가 지구 온도 상승으로 얼음이 녹아 습지와 관목지대로 바뀌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린란드의 이 같은 변화는 온실가스 배출 증가, 해수면 상승 및 지형 불안정의 위험을 불러 일으킨다. 연구진은 지난 30년 동안 녹아내린 그린란드 빙하 면적이 2만 8707㎢로, 뉴욕시 크기의 약 36배에 달한다고 전했다. 얼음이 녹은 자리에는 암석이 드러났으며, 습지·녹지로 변화한 것으로 관찰됐다. 이에 따라 식물이 자라는 땅의 넓이는 약 8만 7474㎢로, 30년 전 면적의 두 배로 늘어났고, 메탄 배출원인 습지가 30년 전의 약 4배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기온 상승을 그 원인으로 꼽았으며 1970년대 이후 이 지역은 지구 평균 속도의 두 배로 가열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그린란드에서는 2007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평균 기온이 1979년부터 2000년까지의 평균보다 3도 더 따뜻한 것으
[비건뉴스=권광원 기자] EU(유럽연합)가 화장품, 제약 회사에 미세 오염물질 처리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도록 강제한다. 최근 가디언 등 주요 외신은 지난 1월 말 유럽연합이 ‘오염자 부담 원칙(polluter pays principle)’을 따라 해양오염을 일으키는 미세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추가 비용의 최소 80%를 화장품, 제약 회사에 청구하는 법안의 초안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미세 오염물질에 드는 추가 비용의 나머지는 각 회원국이 기여금으로 지불하게 된다. 비르기니유스 신케비추스(Virginijus Sinkevičius) 환경·해양 담당 EU 집행위원은 “이번 합의를 통해 우리는 모든 유럽인들을 위한 깨끗한 물 뿐만 아니라 수역에 유입되는 유해한 의약품 및 화장품 배출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할 것”이라면서 “오염 유발자에 대한 비용 지불 원칙 및 에너지 자율성을 보장하게 됐다”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앞서 유럽연합은 EU 그린딜(EU Green Deal)의 일환으로 도시 폐수를 정화하고, 미세플라스틱을 제한하는 규정을 발표한 바 있다. 해당 규정에 대한 개정안으로 발표된 이번 조치는 미세 오염물질을 규제하고자 한다. 여기서 미세 오염물질은 미세플라스틱을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세계적인 팝스타 테일러 스위프트(Taylor Swift)가 남자친구의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일본에서 미국까지 전용기로 이동해 약 90톤의 탄소를 배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후불평등에 대한 논란이 다시금 제기되고 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AP통신,미국 워싱턴포스트 등 외신은 테일러 스위프트가 월드 투어 도중 일본 도쿄에서 밤 공연을 마친 뒤 미국 라스베이거스 얼리전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NFL 슈퍼볼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전용기를 타고 11시간 동안 8900㎞를 이동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해당 경기에는 스위프트의 남자친구인 트래비스 켈시(Travis Kelce)가 출전했고, 그가 속한 캔자스시티 치프스는 우승을 거뒀다. 스위프트는 경기 직후 다시 월드투어가 이어질 호주 멜버른으로 이동했다. 스위프트가 이번 슈퍼볼 경기 관람을 위해 도쿄에서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에서 멜버른까지 이동한 거리는 약 2만 2000㎞로 이 과정에서 항공유 약 3만 3000L를 사용했고, 탄소는 약 90톤 발생한 걸로 추산됐다. 이에 스위프트 측은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테일러는 투어가 시작되기 전에 모든 투어 여행을 상쇄하는 데 필요한
[비건뉴스=김민영 기자] 플라스틱 폐기물이 심각한 환경문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이 마모돼 작게 쪼개지는, 이른바 미세·나노플라스틱 문제가 심각하다. 미세플라스틱은 5㎜ 이하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로 바다 깊은 곳부터 우리가 숨 쉬는 공기까지 지구 어디에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세플라스틱보다 작은 100㎚(나노미터) 미만의 나노플라스틱은 환경에 얼마나 존재하며 어떻게 발생하는지 관찰하기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미세·나노플라스틱은 생물종에 섭취 또는 흡수돼 영향을 미치고, 생태계의 교란을 야기할 수 있는데 최근 국내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식물이 토양에서 흡수한 나노플라스틱이 열매를 통해 다음 세대로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은 안윤주 건국대 교수 연구팀이 미세·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식물에서 생산된 열매와 그 열매에서 성장한 후세대 식물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이 나타난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해저드스 머티리얼스((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게재했다고 13일 밝혔다. 안 교수팀은 선행 연구를 통해 식물이 토양환경에서 미세·나노플라스틱을 흡수하는 기작을 규명한